카이스트 김은준·서울의대 방영주 교수, 제11회 아산의학상 수상

Է:2018-01-10 11:29
ϱ
ũ

신경시냅스와 정신질환 연구 및 위암 표적치료제 개발 공로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10일, ‘제11회 아산의학상’ 수상자로 김은준(기초의학부문·54·사진 왼쪽) KAIST(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와 방영주(임상의학부문·64·왼쪽에서 두번째) 서울의대 종양내과 교수를 각각 선정했다고 밝혔다. 젊은 의학자 부문에는 김호민(40·왼쪽에서 세번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김범경(40·오른쪽) 연세의대 소화기내과 교수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오는 3월 21일 오후 6시, 서울 용산구 한남동 그랜드 하얏트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다. 본상 수상자인 김은준 교수와 방영주 교수에게는 각각 3억 원, 젊은의학자부문 수상자인 김호민 교수와 김범경 교수에게는 각각 5000만 원씩 총 7억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김은준 교수는 인간 뇌 속의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가 만들어지고 작동하는 원리를 1995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2011년에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가 뇌의 신경시냅스 단백질이 부족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2015년에는 특정 신경전달 수용체가 과도하게 증가돼 있는 경우 자폐증, 조현병과 같은 정신질환에서 발견되는 사회성 결여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김 교수는 시냅스 단백질과 뇌질환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정신질환의 발병 원인을 이해하고 향후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영주 교수는 위암에 대한 새로운 항암치료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위암에서 표적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최초로 입증했고,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처음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위암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처음 제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 보조화학요법은 위암 재발률을 44%나 감소시키는 등 위암 치료의 획기적인 장을 열었으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등 여러 나라의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는데 기여했다.

방 교수는 신약개발을 위한 다양한 글로벌 임상시험을 주도함으로써 국내 항암제 임상시험의 기반을 확립하고 한국 의학연구 수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