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최근 일부 언론과 정치권의 왜곡보도와 발표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서병수 부산시장과 백종헌 부산시의회 의장,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16일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기장 해수담수화 수돗물은 깨끗하다”며 안전성을 거듭 강조했다.
서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해수담수화 수돗물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에 대해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은 “부산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라며 관련 언론과 정치권에 해명을 촉구했다.
서 시장은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에 대해 “2006년 노무현 정부 당시 정부 혁신과제로 선정돼 시가 참여한 국책사업”이라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불안이 큰 상황에서 해수담수화 수돗물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의혹이 사실과 다르게 왜곡 확대되면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14년 12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2년간 국내외의 권위 있는 8개 전문기관에 410회나 수질검사를 했다”며 “찬·반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원전해역 바닷물 수질검증위원회’를 구성, 전남 완도에서 태종대까지 총 26개 해역에서 방사능 수질 검사를 한 결과 ‘기장 앞바다는 어느 해역의 바닷물보다 안전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기장 해수담수 수돗물을 장애인 등 사회 취약계층에 일방적으로 공급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장애인 단체들의 요청에 따라 공급한 것”이라며 “인체 유해성 논란을 알리지 않고 억지로 공급한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시 상수도본부는 해수담수 수돗물을 페트병에 담아 시장 사무실을 비롯해 공공기관과 민간단체 등에 공급하고 있다”며 “민간단체의 경우도 주최 측의 요청이 있을 때만 필요한 양만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는 2년간 450만여 병의 병입수를 생산해 공공기관에 230만여 병을 공급했다”며 “취약계층 행사에 요청을 받고 공급한 분량은 전체 2% 수준인 8만여 병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서 시장은 “일부 언론과 정치권이 이번 해수담수 수돗물 일방공급 의혹을 15일 거의 동시에 제기하는 배경에는 야당 소속 단체장을 공격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근거 없이 악의적인 루머를 퍼뜨리는 행위에 대해서는 민·형사상 책임을 묻고 언론중재위 제소 등 강력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상의 조성제 회장은 “해수담수화 수돗물에 관한 근거 없는 의혹 제기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로 타격을 입은 지역 어민들과 수산업계가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기장 앞 바닷물을 공업용수보다 수질이 나쁘다고 왜곡 보도한 것은 수산업계와 지역 상인을 두 번 죽이는 행위”라고 강조하고 “특히 우리나라가 세계 1위의 기술력을 지닌 해수담수화 설비 수출과 대외 신인도에 타격을 주는 만큼 이를 바로 알리도록 하기 위해 기자회견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제주시을)과 일부 언론은 ‘공업용수로도 못쓰게 된 고리원전 앞바다 해수담수화 생수 지난해부터 400만병 생산해 장애인·노인·학생 등에 배포’ 제목의 보도자료를 발표하고, 이를 내용 확인없이 방송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