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늘이 뿌옇다. 중국발 스모그가 몰려오면서다. 한동안 잠잠했던 미세먼지는 초가을로 들어서면서 다시 기승을 부리기 시작했다.
환경부 실시간 대기오염도 측정 시스템 ‘에어코리아’는 19일 오전 11시 대기질 예보에서 충남 호남 제주에서 ‘나쁨’, 그 밖의 권역에서 ‘보통’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오후부터 수도권과 충청 전역에서, 저녁부터 영남에서 ‘나쁨’ 수준의 농도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환경부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중 높은 쪽을 기준으로 등급을 책정한다. 미세먼지의 경우 보통은 31~80㎍/㎥, 나쁨은 81~150㎍/㎥인 경우를 말한다. 초미세먼지에서는 보통이 16~50㎍/㎥, 나쁨이 51~100㎍/㎥의 분포를 나타낸다. 1㎥는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m인 공간이다. 1㎍은 100만 분의 1g이다.



환경부는 “국외 미세먼지 유입”을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농도가 높겠고, 일평균 ‘보통’이 예상되는 권역에서도 오후부터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북반구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에서 국외 유입 미세먼지는 대부분 중국발로 볼 수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의 한반도 유입은 한국대기질예보시스템과 일본기상협회의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도 예측할 수 있다. 그래프에서 중국 서부의 고농도 미세먼지‧초미세먼지는 이날 한반도를 뒤덮는다. 먼지는 20일부터 한반도에서 걷힐 것으로 예상된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