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무의 나이를 알기위해 나이테를 보듯 사람도 무릎관절 상태를 통해 대략적인 나이를 짐작할 수 있는데 무릎관절은 쓰면 쓸 수록 닳기 때문에 연골 및 관절 손상정도 만으로도 알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연골과 관절이 손상되면 필연적으로 무릎관절염이 진행된다는 것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연간 100만명 이상이 이 질환으로 병원을 찾고 있으며, 특히 전체환자 25%가 인공관절수술을 시행할 만큼 인공관절 수술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환자들이 느끼는 인공관절 수술에 대한 부담으로 실제 연세건우병원 조승배 원장 연구팀에 따르면 ‘휜다리’라 불릴만큼 정렬변화가 심한 관절염 말기 환자들이 인공관절 수술에 대한 심리/경제적 부담으로 병원을 찾길 두려워 한다고 밝혔다.
연세건우병원 조승배 원장은 “현재 우리가 인공관절로 알고 있는 수술은 ‘전치환술(TKR)’이란 술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모든 무릎관절을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것인데 이 술식으로 인해 환자들의 심리/경제적 부담이 발생한다. 전치환술 과정은 슬개골을 탈구 시키고, 인공관절을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 무릎뼈를 깍고 다듬는 과정을 거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무릎에 평균 15~20㎝ 정도의 광범위 절개가 필요하고, 슬개골 탈구와 뼈를 다듬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매우 심해 평균 3~4주 정도의 긴 입원기간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무릎뼈는 혈관이나 피부와 달리 출혈 발생 시 지혈이 쉽지 않아 평균 1500㎖의 출혈이 발생해 타인의 수혈이 필수적이라 인공관절 재료비에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이다”고 전했다.
1970년대 손상된 관절만 인공관절로 대체하여 전치환술의 모든 단점을 보완할 ‘부분인공관절’이 도입되었으나, 당시 술기와 의공학기술의 한계로 부정삽입 문제로 보편화 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미세침습술의 발달과 의사의 눈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적외선카메라,프로브,트랜스 미터기를 통해 오차범위 없이 정확한 정렬/계측 이 가능한 컴퓨터 장비가 도입되어 부분인공관절 수술이 폭넓게 시행되고 있다.
이미 JBJS, AJSM 등에 이에 대한 우수한 결과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연세건우병원 조승배 원장 수술팀을 중심으로 활발히 시행되면서 인공관절 수술 변화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조 원장은 “부분인공관절은 말그대로 손상된 관절만 인공관절로 대체하기 때문에 전치환술과 달리 슬개골 탈구 없이 불과 7~10㎝ 정도의 미세절개 만으로 가능하여 평균입원기간 7일로 빠른 회복과 수술 시 출혈량도 300㎖ 정도로 적어 무수혈 수술로 전치환술의 심리/ 경제적 부담 문제를 완벽히 보완했다. 또한 전치환술은 정상적인 관절까지 모두 인공관절로 대체해야 했던 반면 부분치환술은 정상관절 보존이 가능해 수술 후 정상에 가까운 무릎기능 회복으로 인공관절 수술 후에도 발병 이전과 같은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