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양주시가 미세먼지로부터 시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미세먼지 측정망을 구축한다.
남양주시 관계자는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들의 체감오염도가 급증하고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나 지자체는 측정기반이 부족해 보다 세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대응방안 마련에도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에 남양주시는 자체 측정망을 연내에 설치해 지역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남양주 내 미세먼지 측정 시설은 현재 국가도시대기측정소 2개소 뿐으로, 시는 연내에 2개소를 확대하고 자체 측정소 8개소를 신규로 설치해 총 12개소의 측정망을 갖춰 운영할 계획이다. 설치할 측정기기는 오차범위가 넓은 광산란 방식이 아닌 환경부 형식승인을 얻은 베타선흡수방식의 장비를 설치해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남양주시 미세먼지 농도는 2015년 연평균 49㎍/㎥에서 2016년 45㎍/㎥으로 분석돼 경기도내 지자체 중 양호한 수준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미세먼지 농도가 양호한 지역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좋은 수준을 유지케 하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은 원인을 파악해 중점 관리하는 맞춤형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특히 신규 설치하는 자체 측정소 중 1개소는 지역별로 이동해 측정이 가능한 차량 탑재형 이동측정망으로 구축해 운영한다. 이동측정망은 도로주변, 공사현장, 산업단지 등 미세먼지 다량 배출원 인근지역을 모니터링해 미세먼지 사각지대를 없애는데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각각의 측정소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통합 관제시스템을 구축해 관리하고 측정된 대기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량, 기상정보, 배출원정보 등 빅데이터와 연계해 상관관계를 분석, 미세먼지 발생현상과 대응방안에 대해 입체적, 다각적으로 접근할 계획이다.
아울러 미세먼지에 취약한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질환자를 대상으로 남양주시만의 선제적 예보를 실시하는 시민 건강을 보호대책을 시행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미세먼지 문제는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사실이지만 남양주만의 맞춤형 대응방안을 마련해 시민들을 미세먼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남양주=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남양주, 지자체 최초로 ‘자체 미세먼지 측정망’ 연내 구축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