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한킴벌리 중형 생리대에서 1, 2군 발암물질이 가장 많이 검출됐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여성환경연대와 강원대 김만구 교수팀이 유해물질 수치를 확인한 결과 1, 2군 발암물질이 가장 많이 검출된 중형 생리대는 유한킴벌리 제품이었다고 세계일보가 3일 전했다.
세계일보는 김 교수팀의 1차 실험결과표와 여성환경연대가 지난 달 31일 익명으로 공개한 최종 결과표를 입수해 각 제품의 발암물질 수치를 확인했다.
보도에 따르면 20종의 유해성분 중 국제암연구소(IARC)가 규정한 1, 2군 성분 총량이 높은 제품의 순서는 △유한킴벌리(15ng/개, ng는 10억분의 1g) △LG유니참2, 깨끗한나라 (10ng/개) △P&G (9ng/개) △LG유니참1 (7ng/개) 순이었다.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밝힌 1차 실험결과표에 따르면 △유한킴벌리 (10.67ng/개) △LG유니참2 (6.78ng/개) △P&G (5.25ng/개) △깨끗한나라 (4.41ng/개) △LG유니참1(1.51ng/개) 순으로 1, 2군 발암물질이 많이 검출됐다.
발암물질을 포함한 200여가지 물질을 아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총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제품은 릴리안으로 나타났다.
최종 결과에서 1군 발암물질인 벤젠은 유한킴벌리와 P&G에서 나왔다. 또 다른 1군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은 릴리안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검출됐다.
1, 2군뿐만 아니라 3군(인체 발암물질로 분류하지 않음)까지 포함한 8종 성분의 검출치는 LG유니참2(90ng/개)가 가장 높았고 유한킴벌리(87ng/개), 깨끗한나라(44ng/개), P&G(30ng/개), LG유니참1(27ng/개) 순이었다.
실험을 진행한 김 교수는 이날 TV조선과의 인터뷰에서 “검사한 모든 생리대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혀 이같은 보도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이들 물질에 대한 위해 기준치는 현재 마련돼 있지 않다. 또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실험이 정확했느냐, 또 실험 대상을 선정한 기준이 분명했느냐를 두고는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는 상태이다.
식약처 역시 김 교수팀의 실험 결과에 대해 검출된 수치와 인체 유해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시험방법 및 내용 그리고 연구자간 상호 객관적 검증 과정 등에서 신뢰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밝혔다.
정지용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