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의 지난달 컨테이너 물동량이 26만TEU를 보이면서 역대 7월 물동량 최대치가 갱신됐다.
이에 따라 인천항의 물류산업을 활성화해 미래 먹거리와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기위해서는 아암물류단지와 제3경인고속도로를 지하로 연결하는 도로망을 국가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남봉현)는 지난달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역대 7월 물동량 중 최대치인 26만1405TEU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23만3492TEU 대비 12.0% 증가한 수치다.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이 같은 역대 월 물동량 최대치 기록 갱신은 지난해 3월 인천신항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 개장 후 지난달까지 17개월간 지속되고 있다.
수입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달 1만2210TEU 증가한 13만94TEU로 전체 물량의 49.8%를 차지했다. 수출은 12만8816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5천284TEU 늘었다.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1836TEU, 659TEU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교역량이 15만8213TEU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13만6301TEU 대비 16.1%가 늘었고, 대 태국 교역량은 1만1983TEU를 보이면서 46.9%나 증가했다.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 1354TEU를 처리했던 대 이란 물동량은 109.9%가 증가한 2842TEU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극동아시아(18만9825TEU)가 지난해 대비 같은 기간 12.9%(2만1740TEU), 동남아시아(4만9170TEU)가 7.6%(3475TEU) 늘었다.
반면 중미지역과 아프리카는 각각 83.6%, 36.5% 감소한 262TEU, 721TEU를 기록했다.
한편 인천항에서 처리된 컨테이너 화물 총 31개 품목 중 18개 품목이 물량 증가를 보였다.
특히 방직용 섬유류(146만7000톤)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4%(13만8000톤) 늘었고, 잡화(59만1000톤)가 16.6%(8만4000톤), 목재류(18만1000톤)가 31.7%(4만4000톤) 증가했다.
7월 중 입항한 컨테이너선은 총 239척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척이 증가했다. 척당 처리물동량은 평균 907TEU를 보이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6% 상승했다.
IPA 김종길 운영본부장 직무대행은 “이번 달에 태국, 베트남 서비스 컨테이너 항로가 신규 개설되는 등 동남아 항로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며 “오는 11월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이 전부개장되면 보다 많은 항로서비스가 유치되면서 물동량의 증가 추세를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국내 두번째 컨테이너항으로 부상한 인천항 17개월째 기록 갱신 “고속도로 연결 지하도로 국비지원 절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