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로 인구가 계속 빠져나가고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인구가 급감한 지역을 위해 정부가 지원에 나선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일대에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 타운이 조성된다. 외국인이 많은 충북 음성군에는 한국어교실, 임금체불상담센터, 외환송금센터 등 외국인 주민의 생활을 통합 지원하는 센터가 들어선다.
행정자치부는 인구급감지역 통합지원사업에 공모한 70개 지자체 가운에 9곳을 사업지로 최종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들 지자체 읍·면·동의 생활 중심지나 거점마을에는 특별교부세 88억원과 지방비 59억원 등 총 147억원이 투입돼 인구유출을 막을 수 있는 각종 사업이 진행된다.
전남 강진군은 음악 창작소, 한국예술종합학교 아트센터 등과 함께 청년일자리를 만들고 수도권 거주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맞춤형 귀농정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인구가 1만7700여명에 불과한 경북 영양군은 2만 인구 회복을 목표로 부모·지자체 공동육아 시스템을 구축해 아이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인구지킴이 민·관공동체 대응센터를 만들기로 했다.
충남 예산군은 예산읍 일대에 유아·어린이 도서관, 노인 공동체생활공간, 급식소, 아줌마카페, 마을회의실 등을 설치할 예정이다. 전북 고창군은 고수면 일대와 주변의 일반산업단지를 연계해 일자리와 생활정주(定住)공간이 어우러지는 ‘근로자를 위한 주거용 마을’을 조성한다. 전북 정읍시는 역사와 문화가 만나는 동네 레지던시 조성 사업, 경남 하동군은 귀농·귀촌형사업을, 합천군은 귀촌·문화형사업인 ‘팜&아트빌리지’ 조성을 추진한다.
행자부는 또 이들 지역에 KT의 기가스토리사업, LH의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 농협의 ‘농업인 행복콜센터 운영’, 새마을금고의 ‘지역희망공헌사업 등을 일괄 지원해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할 방침이다. 마을기업, 마을공방, 마을공동체장원 조성 사업 등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또 내년에는 농촌지역 뿐만 아니라 낙후돼 가고 있는 구도심의 인구급감지역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심보균 행자부 차관은 “정부와 지자체, 민간기업들이 힘을 합쳐 인구급감지역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농어촌지역의 인구감소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행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어촌 인구 비중은 1970년 57.4%였으나 2040년에는 약 13.9%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30년 내 전국 228개 시·군 중 84개(36.8%), 3482개 읍·면·동 중 1383개(39.7%)가 소멸될 전망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인급급감지역 통합지원…스마트 타운·외국인주민통합지원센터 조성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