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여년간 여름철 태풍·호우 등 자연재난으로 연평균 16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고 3221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여름철 기온이 치솟으면서 최근 6년간 폭염으로 연 평균 1059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고 11명이 사망하는 등 폭염피해도 늘고 있다.
국민안전처는 여름철 자연재난과 폭염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정부는 전국의 지자체와 합동으로 하천 둔치 주차장 등 침수피해 우려가 높은 전국 237곳에 대해 공설운동장 등 대피장소(276곳)를 지정하고 사전 안내를 통해 유사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또 전국 배수펌프장 1982곳과 경보방송시설 등 재난예·경보시설 1039개 지구를 전수 점검하고 정비해 상시 작동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홍수주의보 등 홍수예보 발표 시에는 긴급재난문자(CBS)를 자동 생성하는 시스템을 도입, 송출시간을 당초 20여분에서 3분 이내로 단축했다.
집중호우에 대비해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 등 전국 2만6937개 하천의 퇴적물을 제거하고 109만㎞의 하수도를 준설해 가고 있다. 또 저류시설 616곳의 전기·기계 설비을 점검·정비할 계획이다.
안전처는 앞서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기간(3월 16일~5월 14일)에 산사태, 하천급류, 해안지역 등 풍수해 발생 우려가 높은 취약지역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해 피해 예방을 위한 대책을 수립했다.

안전처는 또 지난달 20일부터 9월 30일까지를 ‘폭염 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관계부처·지자체 합동으로 ‘범정부 폭염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밝혔다.
무더위쉼터를 지난해보다 1243곳 많은 4만2912곳을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다. 무더위쉼터는 냉방이 구비된 시설에 한해 지정된다. 정부는 냉방비 예산(83억7000만원)도 지난해보다 늘려 사전 확보하고 부족 시엔 재해구호기금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또보건전문인력, 노인돌보미, 자율방재단 등 재난도우미를 지난해보다 12.5% 많은 13만5865명 확보해 독거노인, 거동불편자 등 취약계층을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와함께 재난문자방송(CBS), TV 자막방송, 안전디딤돌 앱, 마을앰프 등을 통해 풍수해나 폭염 시 대국민 행동요령을 널리 알리고 관련 정보를 적극 전파할 계획이다.
김희겸 안전처 재난관리실장은 “여름철 풍수해와 폭염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