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후 국내 최초로 선보인 대용량 장대(張大) 열차 운행을 위해 ‘분산중련 무선제어’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총 80량에 달하는 국내 최장 화물열차가 부산신항역에서 진례역 구간을 안전하게 시험운행을 마쳤다.
코레일은 1,2km가 넘는 대용량 장대열차를 효율적으로 운행하기 위해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현대로템과 업무협약을 맺고 공동 연구를 마쳤다. 맨 앞의 기관차 한 대가 전체 열차를 움직이는 일반 화물열차와 달리 40량 이상의 장대 화물열차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기관차 2대가 필요하다. 두 대를 연속으로 연결해 80량을 견인할 경우 긴 열차길이 때문에 제동을 위한 공기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동이 순차적으로 지연돼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다. 이번 시험운행에 성공한 장대열차는 기관차 2대를 화차 앞뒤에 나누어 연결(분산중련)하고, 앞의 기관차(제어기관차)가 뒤의 기관차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첨단 기술을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해 이날 시연에 성공한 것이다.
그동안 '분산중련 무선제어' 시스템은 장대 화물열차 운행을 위한 핵심기술로 GE나 Wabtec 사에서 개발한 기술을 도입해 미국, 중국, 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만 운용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이강미 박사는 "2012년부터 철도차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철도차량 분리결합 및 배선절감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코레일 및 현대로템과의 MOU를 통한 적극적인 상호 공조가 있었기 때문에 대용량 화물수송을 위한 핵심기술인 무선전송기술, 차량분산제동 및 분산제어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을 빠른 시간 내에 확보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국내 화물열차는 33량을 연결해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날 화차 80량을 연결해 시험운용에 성공한 기술을 적용하면 수송량이 2,4배 늘어나는 셈이다. 본격적으로 장대화차 운행이 시작되면 철도물류의 수송효율이 획기적으로 높아져 국가 물류경쟁력 강화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코레일 측은 기대하고 있다.
부산=곽경근 선임기자 kkkwak@kmib.co.kr






곽경근 선임기자 kkkwa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