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가안전대진단 통해 1만3784곳 개선 추진·6791곳은 즉지 시정조치

Է:2017-04-26 11:07
:2017-04-26 11:21
ϱ
ũ
국민안전처는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에서 1만4533곳을 적발해 보수·보강 및 정밀안전진단 등 개선을 추진하고 6791곳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조치했다고 26일 밝혔다.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은 민간 전문가, 공무원, 시설 관리주체 등 연인원 75만여명이 참여해 지난 2월 6일부터 3월 31일까지 전국의 안전관리 대상시설 36만1445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10만1183곳은 안전분야 교수, 기술사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민·관합동점검을 실시했고 나머지 26만262곳은 시설물 관리주체가 자체점검을 실시했다.

안전점검 결과 구조물의 심각한 하자나 결함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경미한 사항이 지적된 6791곳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조치했다. 1만3784곳은 보수·보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나 예산을 투입하거나 추후 확보해 개선토록 했다. 749곳은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토록 했다.

분야별로는 대형 공사장의 경우 1002곳을 검검해 추락·붕괴 예방조치 등 안전조치를 소홀히 한 547곳은 사업주 등을 사법처리하고 사고 위험이 큰 242곳에 대해서는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

전통시장은 890곳을 점검해 소방·전기·가스 시설과 건축물에 대한 보수·보강이 필요한 151곳은 지자체의 시설현대화 예산으로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연안여객선 168척, 국제여객선 25척, 낚시어선 1490척도 점검해 구명조끼 노후화, 사용지침서 미게시 등이 적발된 124척은 현장 시정조치하고 소화설비 작동불량 등이 지적된 59척은 3개월내 조치 완료토록 했다.

학교 및 학교 주변 보수공사 현장은 1364개교를 점검해 안전펜스 미설치 및 통학로 주변 자재정리 미흡 등 104건을 시정조치했다. 152개 학생 수영장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해 1곳을 사용중지 조치하고 보수‧보강을 추진 중에 있다.

야영장은 1496곳을 점검해 안내표지 미설치, 긴급방송장비 미비, 숯 처리장 방화장비 미흡 등이 지적된 183곳에 대해 현장 시정조치하고 76곳은 보수·보강을 추진 중이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은 507곳을 점검해 시설 노후화로 인한 균열 등으로 화학사고 우려가 높은 2개 사업장에는 정밀안전진단 명령을 내리고 보수·보강이 필요한 57개 사업장은 3개월 내 조치토록 했다.

석유비축‧정유시설 59곳, 가스시설 1155곳도 점검해 저장탱크 주변부 옹벽 보강 필요 등 지적사항에 대해 보수‧보강을 추진중이다.  가스생산시설(평택‧인천‧통영)내 변전소 등 부속건물에 대해서는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학교 급식시설, 식재료 판매업체도 9100곳을 점검해 위생취급기준 등을 위반한 53곳에 대해 영업정지, 시설개수명령 등의 행정처분을 내렸다.

안전처는 또 점검과정에서 발굴한 81건의 법‧제도 개선과제에 대해서는 소관 부처의 검토를 거쳐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안전처는 또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중 안전신문고를 통한 안전 위험요소 신고가 총 3만6082건, 하루 평균 668건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대진단 기간(하루 평균 523건)보다 28% 증가한 것이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올해 대진단은 안전관리 취약시설을 선택해 집중 점검함으로써 점검의 실효성을 높였다”며 “앞으로 보수·보강 등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현장을 관리하고 있는 부처와 지자체의 안전관리 역할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독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