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대형 단설유치원 신설 자제’ 공약 논란에 대해 “유치원의 빠른 공교육화를 위한 구상”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안 후보는 규제의 대상이 병설유치원으로 잘못 전해진 발언으로 한차례 여론의 포화를 맞고, ‘대형 단설유치원’으로 발언을 바로잡은 뒤에도 맞벌이 부부의 현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논란에 휘말려 ‘진땀 해명’을 이어가고 있다.
안 후보는 13일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제19대 대선후보 첫 방송 합동토론회를 마친 뒤 방송사 1층 로비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내가 생각하는 유치원 교육은 공교육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공립 유치원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형 단설유치원의 비용을 추산하면 서울에서만 100~200억원 이상이다. (유치원의 공교육화를 위한) 시간도 많이 걸린다”며 “많은 아이들에게 혜택을 주는 방법은 병설을 설립하는 것이다. 이미 초등학교에는 (병설유치원) 시설과 어느 정도의 인력이 있다. 추가로 투입할 예산은 많지 않다”고 내다봤다.
그는 “병설에 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단설보다 높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병설을 만들고, 추가 예산을 투입해 질을 높여야 한다”며 “이 경우 대형 단설을 짓는 것보다 빠르게 유치원 공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초청 간담회에서 대형 단설유치원의 신설 자제 방안을 유아교육 공약으로 제시했다. 대형 단설유치원은 건물의 크기나 원생의 규모를 감안할 때 사고나 재난대응에 취약하고, 주변 소규모 유치원들의 운영난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근거였다.
그러나 안 후보의 발언은 ‘병설유치원 신설 자제’로 와전돼 한바탕 소란을 빚었다. ‘국공립 대신 사립유치원을 늘리겠다’는 식으로 오해를 받으면서다. 안 후보는 페이스북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6000개 학급을 추가로 설치하겠다. 국공립 유치원을 줄인다는 해석은 오해”라며 직접 진화에 나섰다. 안 후보는 병설유치원 학급을 6000개 추가할 경우 국공립 이용 비율이 40%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대형 단설유치원 신설 자제 공약 역시 논란을 피할 수 없었다. 단설유치원은 초등학교 안에서 운영되는 병설유치원과 다르게 별도로 운영되는 유아교육 시설이다. 병설유치원처럼 국공립의 한 종류다. 초등학교 일정에 따라 등하교가 결정될 수 있는 병설유치원과 다르게 단설유치원은 자체 일정에 따라 운영돼 맞벌이 부부의 육아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반론이 인터넷 육아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불거졌다. 2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워킹맘을 중심으로 안 후보에 대한 비판 여론이 형성된 이유다.
안 후보는 페이스북 해명에도 사그라지지 않은 논란을 의식한 듯 연일 해명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12일 만난 기자들에겐 “내 발언에 대한 정정보도가 있었지만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며 “나는 누구보다 앞서 교육개혁을 주장했다. 만 3세부터 유치원을 공교육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큰 틀에서 보면 학부모들이 걱정보다 희망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