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입출입 ‘구멍’...BPA간부 뇌물받고 엉터리 보안시스템 구축

Է:2017-04-13 16:13
ϱ
ũ
부산항만공사(BPA) 간부가 항만물류정보시스템과 항만출입체계 개선사업을 하면서 업체로부터 1400만원의 뇌물을 받고 엉터리 시스템을 설치해 국가 최고 ‘가’급 보안시설인 부산항에 구멍이 뚫렸다.
특히 이 간부는 190억원에 달하는 국비 사업의 사업비를 부풀리는 수법으로 7400만원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나 BPA의 청렴도와 부패 지수의 현 주소를 알게 하고 있다.
부산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대장 박용문)는 뇌물수수와 사기 등의 혐의로 부산항만공사 3급 간부 이모(45)씨를 구속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산항만공사가 2004년 1월16일 설립 후 간부가 형사사건으로 구속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씨는 2010년 2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부산항 항만물류정보시스템 구축사업과 무선주파수인식(RFID) 항만출입 체계 개선사업에 참여하게 해준 대가로 신모(43)씨 등 업체 대표 6명으로부터 20차례에 걸쳐 현금 800만원과 675만원 상당의 향응을 받은 혐의다. 신씨 등 6명은 뇌물공여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경찰 조사 결과 BPA 간부 이씨는 RFID 항만출입 체계 개선사업과 관련해 2011년 11월께 영상인식 카메라 26대를 납품하기로 한 업체와 계약을 무단 파기하고 금품과 향응을 제공한 A업체를 선정했다.
이씨는 이 과정에 정상적으로 설계변경을 한 것처럼 가짜 회의록을 만들고 A업체에 납품단가를 부풀리도록 한 뒤 차액 7436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A업체는 이씨가 BPA에 입사하기 전까지 근무했던 곳이다.
RFID 사업은 부산항만공사가 2011년 1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인천, 울산, 여수·광양항만공사와 공동발주 형식으로 동시에 추진했는데 당시 부산항만 영상인식 카메라를 바꿨다.
부산항 RFID 사업에는 40억원 가량이 들어갔지만 차량과 사람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에 따라 경비원이 일일이 수동으로 차량과 사람을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산항 보안공사가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파악한 부산항 RFID 고장은 최소 276차례인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항만공사가 2010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150억원가량을 투입해 구축한 부산항 항만물류정보시스템도 해양수산부의 ‘포트미스 시스템'과 별다른 차이가 없고 업데이트도 되지 않아 화주와 선사들이 외면하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부산항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활용률은 예상치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데 연간 유지·보수비는 7억원에 달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BPA 간부 이씨가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는데도 사업에 참여한 선사와 운송사, 화주, 하역사 등이 문제제기를 않은 것은 발주처의 ‘갑질’을 두려워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이씨의 범행에 윗선이 연루됐는지와 이번에 문제가 불거진 사업 이외에도 부산항만공사와 업체가 유착했다는 의혹이 다수 제기돼 수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부산항만공사는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와 기재부의 정부기관 평가결과 경영과 청렴도에서 ‘꼴찌’를 차지한 것은 물론 ‘성과급 잔치’와 ‘부실임용’ 등으로 물의를 빚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