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펜시아로 인해 경영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도개발공사의 부담을 줄이고 올림픽 레거시 보존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취지다.
2012년 대선 당시 각 정당에서는 알펜시아 정상화를 공약했지만 현재까지 특별한 지원이나 움직임이 없는 실정이다.
도개발공사는 올림픽을 앞둔 마지막 대선인 만큼 알펜시아 정상화 방안을 정치권의 주요 이슈로 부각시킨다는 계획이다.

■ 동계스포츠 육성, 정부가 나서야
강원도개발공사에 따르면 알펜시아 동계올림픽시설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도개발공사가 2711억원을 들여 지난 2009년 완공했다.
이 시설들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주요 역할을 담당했고 각종 국제․국내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왔다.
대회가 없을 때는 국가대표부터 초등학생 꿈나무 선수들까지 훈련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동계스포츠 육성이라는 국가적 사업을 지방공기업이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알펜시아 조성을 위해 조달한 차입금과 이에 따른 이자상환으로 도개발공사의 경영부담이 점차 가중돼 올림픽 이후에는 한계가 드러날 수밖에 없다.
현재 국가가 운영하는 하계올림픽 종목 선수촌은 태릉, 진천, 태백 등 3곳인데 반해 동계종목 훈련장은 전무하다.
이 때문에 알펜시아 동계스포츠지구를 정부가 인수해 선수 육성과 스포츠 균형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정부 차원의 올림픽 사후 활용 방안 절실
알펜시아 스키점프경기장은 지난해부터 K리그 강원FC 홈경기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 4차례 챌린지(2부 리그) 경기를 치른데 이어 올 시즌에는 클래식(1부 리그) 16개 전 경기를 치른다.
스키점프장과 축구장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국내외 호평이 이어졌다.
그러나 도개발공사의 이러한 자구책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차입금과 이자상환 등 근본적인 문제해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도 정치권 차원의 설득논리 개발과 법적 지원방안 마련 등을 통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약속을 이끌어 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노재수 도개발공사 사장은 “알펜시아 현안을 이번 대선의 주요 이슈로 만들어 정부차원의 지원을 이끌어 내야 한다”며 “강원도와 도의회, 정치권과 적극 공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