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본인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턱대고 시작하면 ‘엉덩이 관절’에 예기치 않은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고관절와순 파열’이 대표적 질환인데, 척추관절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오인 가능성도 크다.

그림 참조).
이 부위가 파열되는 주된 이유는 활동성이 크거나 격한 운동을 할 때 고관절과 넙다리뼈가 부딪히는 충격 때문이다. 섬유 연골조직은 두껍고 탄탄한 막으로 형성돼 있는데, 장기간 압력 이나 누적된 충격에 의해 손상이 있을 수 있다. 드물지만 강한 충격을 받아 파열되기도 한다.
고관절와순 파열은 퇴행성 질환의 하나로 원래 노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최근에는 운동을 즐기는 젊은 층에서도 발병한다. 마라톤, 야구, 에어로빅, 요가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젊은 층이 많아진 탓이다.
잘못된 자세로 오래 앉아 사무 일을 보거나 고지방 저탄수화물 열풍 등으로 인한 상체과부화도 원인이 되고 있다. 높은 발병률에 비해 아직까지 고관절 부위는 일반인들에게 생소해 병을 더 키우는 경우가 많다.
고관절와순이 파열되면 초기 증상으로 걷거나 양반다리 등 특정 자세를 취할 때 골반•대퇴부에 불편을 느끼게 된다. 파열 정도가 심해지면 불편을 넘어서 통증으로 인해 보행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으로 나타나는 방사통과 유사하다. 고관절 부위가 툭툭 걸리고 뻐근한 느낌, 걸을 때 골반 또는 대퇴부에 통증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다리를 절뚝거려 보행장애를 일으킨다. 때문에 고관절와순 파열을 허리질환으로 오인해 엉뚱한 부위를 치료하는 일도 흔히 일어난다.
허리질환의 경우 대개 통증이 느껴질 때 본능적으로 허리 뒤를 부여잡는다. 그러나 고관절와순에 문제가 생겨 통증이 나타나면 환자 대다수가 특징적으로 옆구리 아래 골반부위를 손으로 짚은 채 몸을 움츠리는 자세를 취한다.
이는 고관절로 가는 하중을 분산시켜 통증을 줄어들게 하는 반사적 보상행동이다. 만약 골반쪽 통증이 나타났을 때 이러한 자세를 취해 통증이 줄어든다면 허리보다 고관절 문제일 가능성이 크므로 관절전문의로부터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고관절와순 파열 초기 치료는 약물이나 주사,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 가능하다. 하지만 활동이 많아지고 파열 정도가 심해지면 불편을 넘어서 통증으로 인해 보행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관절내시경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다. 5mm정도의 피부 구멍으로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관절에 넣어, 파열된 병변 부위를 꿰매는 시술이다. 관절 속을 자세히 관찰하므로 MRI로도 확인하기 어려운 병의 상태까지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다. 수술 후 통증이 적고 다음날 보행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강지호 연세바른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평소 똑바로 누워 한쪽 다리를 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면 고관절 근육이 강화돼, 고관절을 예방과 함께 건강한 마라톤 완주에 도움이 된다”며 “하지만 고관절 관절와순 파열은 진단이 늦어져 병을 키우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불편함이 느껴질 경우 활동을 자제하고 빠른 시일 내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