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은 신체부위 중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이동하게 해주는 편리한 신체부위이다. 하지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건강에 대한 관리는 비교적 소홀한 부위 중에 하나이다. 특히 족부에 발생한 질환을 관리해주지 않게 되면 도보 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신발 착용에도 제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질환 발생 전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질환이 발생하더라도 초기에 치료를 해주는 것이 좋다.
무지외반증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족부 질환 중 한가지이다.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방향으로 휘어지는 변형증상을 보이며, 정상적 발가락 모습과 다르게 엄지발가락 관절이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형상으로 변하는 것이다. 이 질환의 원인은 과도하게 유연한 발을 가진 경우나 평발, 노화로 아치가 낮은 발인 경우, 굽 높은 신발 즉 하이힐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발생빈도가 높다.
무지외반증 증상은 엄지발가락 변형과 함께 변형이 점점 심해지면 발바닥에 군살이 발생하고 통증이 나타난다. 또, 걸음걸이가 비정상적으로 변하여 보행 시 발목과 무릎, 허리 관절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튀어나온 뼈가 신발과 닿을 경우 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무지외반증은 일반적으로 발 변형 증상이 심하지 않을 시에는 발가락의 형태를 정상에 가까운 형태로 교정해주는 교정기 착용, 혹은 교정 깔창을 착용하여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변형 정도가 심하여 보존적인 방법만으로는 치료가 어려울 시 수술을 통해 발가락의 형태를 교정해준다.
수술을 통해 무지외반증을 치료할 경우 치료 이후 정상적인 생활로의 복귀를 위한 회복기간 및 재활기간이 상당히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증상 발견 초기에 보존적 방법으로 치료를 하는 것이 환자 스스로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서대문구 가자연세병원 고민석 원장은 “무지외반증 예방을 위해서는 발이 편안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득이 직업상 군화나 하이힐을 장시간 착용해야 할 경우에는 수시로 신발을 바꿔 신어 발의 피로감을 줄여주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발도 다른 신체 부위와 같이 평소 예방으로 충분히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무지외반증을 예방하려면 일과 후 집에서 따뜻한 물로 족욕을 하거나 마사지 및 스트레칭을 통해 발의 피로를 풀어주고, 발의 근육을 강화시켜 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