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안에 있는 펄을 제거하는 작업이 4일까지 진행된다. 세월호 선체는 6일 전후로 육상에 거치될 예정이다. 다만 침몰 원인 규명 등 진실을 밝히는데 필요한 평형수 보존은 중량 문제로 600t 가량 배출하게 된다. 미수습자 가족들은 정부에 수색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김창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장은 1일 오전 “오는 6일 세월호를 육상에 거치한다. 전날 모듈 트랜스포터로 세월호를 운반하는 테스트를 한다. 4일 자정이 펄 제거 시한”이라고 밝혔다.

세월호를 뭍으로 올리기 위해서는 반잠수식 선박에 실린 선체와 부두의 높낮이를 맞추는 등 예민한 작업이 필요하다. 특수 운송장비 ‘모듈 트랜스포터’도 456대나 동원된다. 또 배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6개의 기기장치로 단단히 고정하는 일도 진행돼야 한다.
김 위원장은 “상하이 샐비지 30명, 코리아샐비지 20명 등 총 50명이 (펄 제거 작업에) 투입된다”며 “작업 상황을 보고 4일까지 펄 제거를 마치기 위해 추가 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펄 제거 작업은 작업자들이 직접 손으로 펄을 들어 자루에 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유골이나 유류품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자루에는 펄을 수거한 위치를 기재한다. 작업자들이 총 수거해야 할 펄의 양은 300㎥로 추정된다. 자루에 담은 펄을 컨테이너에 모은 뒤에는 다시 미수습자나 유류품 수습 작업을 진행한다. 펄을 담는 과정에서 혹시 놓쳤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마대자루에 펄을 넣어 곧바로 육상에 내릴지, 반잠수식 선박에 보관하다 내릴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오염 발생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유실을 막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직원 1명, 조사위 유해발굴전문가 1명이 펄 작업에 참여해 감독한다”며 “현장 채증을 해가며 신중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사위는 국방부에도 전쟁피해자 유골발굴 전문가 지원을 요청했으나 “법률상 지원이 불가능하다”며 거절당했다. 김 위원장은 “선체조사위원회 특별법에 ‘국가기관은 위원회가 요청하는 경우 조사에 필요한 편의 제공 등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며 “이를 위반하면 법 위반이다. 이를 근거로 국방부에 다시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월호 침몰 원인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평형수는 600t 가량이 배출된다. 김 위원장은 “세월호를 육상 거치하는 과정에서 모듈 트랜스포터가 감내할 수 있는 중량을 약간 초과했다”며 “평형수를 600t 가량 배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증거 보존도 좋지만 용량을 초과하는 것은 더 큰 문제”라고 덧붙였다.
조사위는 전날 “진상규명에 필요한 선교, 타기실, 기관실, 화물칸의 형상을 변경해선 안 된다”며 “세월호 침몰 원인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세월호 내 평형수도 함부로 처리하지 말 것”을 해양수산부에 요구했다. 김 위원장은 “사실 평형수의 증거 가치는 조사위 내부에서도 이견이 있었다”며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한다는 전제 아래 (평형수 배출에)동의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수습자 가족들은 해수부와 위원회에 오는 5일까지 미수습자 수색안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다. 가족들은 이날 오전 10시25분쯤 전남 목포신항 출입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습을 지체할 시간이 1분1초도 없다”며 “당장에라도 열 손가락으로 직접 찾고 싶은 심정이다. 위원회와 해수부는 5일까지 수습을 들어가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우리에게 제시해달라”고 요구했다. 김 위원장은 세월호 유가족과 미수습자 가족들의 인양·수색 작업 참관 요구에 대해서는 “가족 대표 3명은 언제든지 들어갈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말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