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연준이 상반기 중에만 1~2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를 부양할 가능성은 희박해진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3일(현지시간) 시카고 경영자클럽 주최 행사에서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고용과 물가가 우리 예상에 맞으면 연방 기준금리의 추가 조정은 적절할 것”이라며 이달말 금리 인상설에 힘을 실었다.
연준 ‘매파’들의 잇따른 발언에 이어 옐런 의장까지 굳히기에 들어가며 3월 금리인상은 기정사실화되는 모양새다. 앞서 뉴욕 연은의 더들리 총재가 “3월 금리 인상 명분이 뚜렷해졌다”고 발언한데다, 샌프란시스코 연은의 존 윌리엄스 총재가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상을 진지하게 고려해야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부터 6주 단위로 열려 다음달 13일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다음달 금통위를 포함해 5월, 8월, 10월, 11월 등 총 다섯 차례의 금통위가 남아있다. 한은은 지난달 23일 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연 1.25%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8개월 연속이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가속화되며 한은이 관망세를 취하다 올해 하반기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 경기 상황만 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면 (기준금리를) 낮춰야할 정도로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지만 “다만 시기의 문제일 뿐 미국의 금리 인상이 예고된 상황이기 때문에 4월 금통위에서는 관망하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는데 한국이 금리를 내리면 양국 사이에 금리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이는 결국 자본유출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자본유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은은 한동안 관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하지만 사상 최고 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가계부채가 금리 인상의 아킬레스건이다. 가계부채는 지난해 1344조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한 해에만 1141조원이 늘었다. 한은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종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1% 포인트 올라가면 한계가구가 지난해 3월 기준치인 150만4000가구에서 157만3000가구로 6만9000가구 늘어날 수 있다. 한은은 한계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도 289조7000억원에서 314조4000억원으로 24조7000억원 늘어나게 될 것으로 계산했다. 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은 마이너스 상태에서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가구를 뜻한다. 금융충격에 취약한 가구들로 전체 가구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