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김기춘(77)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문화계 농단’ 의혹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특검은 연루자들을 연쇄 압수수색하는 한편 이른바 ‘문화계 인사 블랙리스트’ 작성에 관여한 실무자들을 임의동행해 조사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뇌물 혐의와 직결된 삼성그룹 계열사 합병특혜 의혹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은 26일 김 전 실장 자택과 조윤선(50)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자택·집무실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문체부 주요부서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도 포함됐다. 모두 정부의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 있다. 2014∼2015년 청와대 정무수석실과 문체부에서 작성·관리된 것으로 알려진 리스트에는 정부에 비호의적인 문화계 인사 1만여명의 이름이 올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리스트 작성을 담당한 것으로 알려진 오모 서기관 등 관련 문체부 실무자 수명에 대한 임의동행 조사도 진행됐다. 특검은 이들을 상대로 리스트 작성 배후와 기준, 활용사례 등을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김 전 실장과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이었던 조 장관을 각각 리스트 작성 지시자와 실행자로 의심한다.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리스트 (형식) 이전에 구두로, 수시로 김기춘 비서실장의 지시라고 하면서 모철민 수석이나 김소영 비서관을 통해 문체부로 전달됐다”고 주장했다. 특검도 유 전 장관을 접촉해 관련 진술을 이미 확보했다. 조 장관은 지난 9월 취임 이후 수사에 대비해 리스트 작성에 사용된 컴퓨터 교체를 지시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특검은 리스트 작성에 개입한 것으로 지목된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도 27일 불러 조사한다.
김 전 실장은 문체부 인사에 부당하게 개입한 혐의도 받고 있다.
삼성물산 합병특혜 의혹 수사도 이어졌다. 특검은 국민연금의 삼성물산 합병 찬성 결정에 개입한 의혹을 사는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과 김진수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의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또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업무상 배임)으로 조사했다.
▶‘그것이 알고 싶다’ 박 대통령 5촌 살인사건의 소름 돋는 진실 [꿀잼포토]
▶'성추행 몰카' 찍힌 칠레외교관에 대한 교민 반응 [꿀잼 영상]
▶‘전소미 두번이나 움찔’ 남아이돌 우신 가슴 위 손동작 논란 영상
▶화장지에 현금 수백만 원 끼워 사용한 최순실 '범인색출' 소동
▶조여옥 대위 동생 "아이 씨∼" 박영선 의원에 욕설 논란
▶“장제원, MB정부 촛불집회 땐 버럭버럭 윽박”… 딴사람 같은 8년 전
▶“필통에 ‘필통 라벨’ 왜 필요해?” 박근혜 대통령, 기이한 의전 요구
▶자로 ‘세월X’ 마침내 업로드… "속단 말라" 당부
▶자로 세월x 본영상 26일 오전 1시30분 업로드 완료…비공개 전환 왜?
▶특검, 김기춘·조윤선 휴대전화 압수수색… “피의자로 수사 시작”
▶조여옥 대위 “미국 돌아갈래”… 박영수 특검 “출국금지 검토”
▶기내난동 중소기업 사장 아들 6일만에 출석… “과도한 배려” 지적
정승훈 정현수 황인호 기자 shj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