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우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가 속한 국제연구팀이 아기별 원반에 형성된 나선팔 구조를 처음으로 발견해 관련 논문을 30일 사이언스지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역대 최대 관측기인 아타카마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 간섭계(이하 ALMA)를 통해 ‘Elias 2-27'이라는 아기별 원반을 관측했다. 관측 결과 중심으로부터 약 70AU에 형성된 저밀도 지역과 100~300AU 지역에 대칭적으로 뻗은 나선팔 구조를 발견했다. 가시광선 같은 짧은 파장의 관측에서 나선팔 구조를 발견한 적은 있었지만 밀리미터 전파 관측으로 나선팔 구조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발견은 아기별 원반 바깥 영역에서 이뤄지는 행성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별은 차갑고 밀도가 높은 분자구름에서 중력 수축으로 탄생한다. 중력 수축으로 막 탄생한 별이 아기별인데 아기별은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원반을 가진다. 원반 질량이 충분히 크면 중력 불안으로 나선팔이 만들어져 이 공간에서 행성이 탄생한다. 권 박사는 관측 자료 초기 분석 과정에서 나선팔 구조가 행성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논문의 핵심 부분을 제안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