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위해 5년간 5480억원 투입

Է:2016-09-13 15:59
ϱ
ũ
서울시는 도시철도 등 8개 공공시설물 전체에 대한 내진 보강작업을 위해 2020년까지 548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민간건축물도 지방세 감면 등 내진보강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직접 관리하는 8종의 공공시설물 전체에 대한 내진성능을 확보한다는 목표아래 보강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이미 수도시설, 공동구, 시립병원, 수문 등 4종은 내진성능을 100% 확보하고 있으며 아직 확보하지 않은 공공건축물, 도시철도, 도로시설물, 하수처리시설에 대해서는 내진성능 평가를 시행해 단계적으로 보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약 5480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도시철도의 경우 2009~2013년 전문기관 용역을 통해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53.2㎞를 제외하고는 진도 6에 해당되는 수준까지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반영됐거나 내진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 대한 내진보강을 위해서는 3320억원의 예산투입이 필요한데 2011년부터 2020년 완료를 목표로 재정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서울시는 완료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필요시 내진설계 관련 예산을 내년에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민간건축의 경우 1988년 내진설계 대상 기준이 최초로 신설된 이후 점차 기준이 강화돼 현재 3층 이상 연면적 500㎡이상 건축물은 내진설계를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준 강화 이전에 지어진 건물에 대해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지방세 감면 등의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는 등 행정적· 재정적 지원 강화와 제도개선, 시민홍보 등을 통해 내진보강을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지진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적절한 대응 노력 숙지도 중요한 만큼 국민안전처의 ‘지진발생시 시민행동요령’에 대해서도 적극 홍보하되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거쳐 서울의 실정에 맞는 행동요령 수립도 검토할 계획이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지진 등 안전문제에 관해서는 이미 누차 밝힌 바와 같이 ‘1%의 가능성이 100%를 의미한다’는 기본 원칙 아래 지진방재매뉴얼에 따라 서울지역의 지상·지하 구조물을 전수 조사하는 것은 물론 기존 매뉴얼도 문제점이 없는지 재점검하고 보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