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회와 역사학계 원로학자들이 정부의 '건국절' 제정 움직임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헌법에 명시된 임시정부의 법통성과 선열들의 독립운동을 부정하고 민족반역자인 친일파를 건국의 주역으로 탈바꿈하려는 '역사세탁'이 건국절 주장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2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위기의 대한민국, 현 시국을 바라보는 역사학계의 입장'이라는 성명을 통해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정권 차원에서 독립운동을 폄훼하고 친일과 독재에 대한 찬양을 노골화하기 시작했다"며 "박근혜 정부의 '역사쿠데타'로 그 정점을 찍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의 시대착오적인 역사인식으로 인해 건국절 논란, 역사교과서 국정화, '일본군 위안부' 합의 같은 사례들이 이어졌다"고 꼬집었다. 또 "현 정세가 100여년 전 국가의 존망이 위협받고 있던 때와 비슷한 심각한 위기 국면이라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였다"며 "선택의 기로에 있는 대한민국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 정권의 탈선을 막아내는 데 함께 해주시기를 간곡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성명에는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사 연구회 등 20여개의 역사학회와 안병욱 가톨릭대 명예교수, 이이화 전 서원대 석좌교수,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 등 역사학계의 원로 20여명이 참여했다. 성명을 발표한 22일은 1910년 한일병합조약이 조인된지 106년째 되는 날이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역사학회·역사학계 원로들 '건국절' 비판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