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로 사들인 ‘소방용 드론’ 애물단지…단 한 번도 출동 안 한 곳 수두룩

Է:2016-08-03 08:57
:2016-08-03 08:58
ϱ
ũ

새누리당 홍철호 안행위 의원실 자료

화재 및 인명 수색·구조 업무를 위해 일선 소방서들이 구비한 고가의 소방용 드론이 ‘애물단지’가 된 것으로 드러났다. 각 지자체들은 올해 또 소방용 드론에 대한 예산을 편성했다.
 
 국회 새누리당 홍철호 안전행정위원회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으로 전국 소방서 6곳에 소방용 드론은 총 9대가 배치됐지만 단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소방서가 4곳이나 된다고 3일 밝혔다. 나머지 두 곳도 11개월 동안 8회, 5개월간 3회 출동하는 데 그쳤다.
 

 소방용 드론이 가장 많이 배치된 곳은 전북으로 전북 군산 소방서가 3개를 보유하고 있다. 서울은 본부에 2대 울산은 남부소방서와 중부소방서에 각각 한 대씩 있다. 부산은 본부에, 강원은 정선소방서에 각각 한 대씩 뒀다. 각 소방서는 무상기증을 받은 전북을 제외하고는 대당 300~4000만원에 달하는 구매 금액을 국비나 지방비로 충당해 마련했다.
 
 국민안전처는 해당 소방용 드론의 배치목적이 ‘화재 및 인명 수색· 구조 업무’ 수행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장비를 활용도는 매우 낮았다. 부산의 경우 지난해 9월 4000만원을 들여 드론을 구입했지만 월평균 430여건의 화재 및 인명 수색·구조 출동을 하면서도 지금까지 10개월 동안 단 한 번도 드론을 출동시키지 않았다. 울산, 강원에서도 월평균 50~70여건의 화재 및 인명 수색·구조 활동을 했지만 소방용 드론은 단 한 차례도 쓰이지 않았다.
 
 서울은 지난해 8월 소방용 드론이 배치된 후 총 1만665건의 사고가 발생했는데 드론은 단 8회만 출동했다. 매달 970여건의 사고가 일어났는데 소방용 드론이 월평균 0.7회만 출동한 셈이다. 전북도 지난 2월 드론을 배치한 후 총 600여회의 사건 사고가 발생했지만 실제로 드론이 쓰인 것은 3차례(월평균 0.6회)에 불과했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비행 가능시간이 18~25분에 불과하고 현재 장비가 고온의 화염 환경에 견딜 수 없는데다 드론 조작요원이 부족해 활용도가 저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도 각 지자체들은 올해도 소방용 드론 예산을 총 12억1800만원이나 편성했다. 서울시가 소방용 드론에 11억9900만원을, 충남·경남·경북이 각각 500~900만원의 예산을 마련했다. 특히 서울시는 해당 예산으로 소방용 드론 7대를 1차 개발했지만 아직 실전 배치해서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홍 의원은 “쓰지도 않는 드론을 국민 혈세를 들여 도입하고 또 다시 ‘홍보 목적’으로 재도입하는 건 문제”라며 “드론 산업을 안전분야에 접목시켜 산이나 화재현장을 자유롭게 수색하고 야간까지 원활히 정찰할 수 있을 정도로 장비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홍 의원은 국민안전을 위한 R&D 투자 확대, 첨단장비를 실전 배치화 로드맵 마련, 소방용 드론 전문가 육성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