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자는 동안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수면 무호흡증’은 대개 어른 질환으로 생각하기 쉽다. 심한 코골이로 확인 가능하다.
어린이의 경우 코골이가 없다 하더라도 땀을 많이 흘리고 심하게 뒤척이면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지난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전체 수면 무호흡증 환자 가운데 소아 청소년기가 6%(1671명)를 차지했다. 미국수면재단에 따르면 3세 이상 어린이 중 10% 이상이 코골이를 하며1~3%는 수면 무호흡증을 진단받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성인의 수면 무호흡증은 심한 코골이와 낮에 졸음이 쏟아지는 증상이 있지만 소아의 경우 코골이가 없고 낮에도 피곤함 없이 활동을 잘해서 알기가 쉽지 않다. 특히 어린이 무호흡증은 호흡이 정지되는 무호흡보다 저호흡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겉으로 봐서는 정상 수면에 속하는 것처럼 보인다.
어린이의 수면 호흡장애는 주로 편도와 아데노이드 비대(굵어짐)가 기도를 좁게 만들어 발생한다.
기도가 좁아지면 아이들의 뇌는 수면 중에도 호흡곤란이 올 것에 대비해 무의식적으로 각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때문에 피곤이 누적되고, 짜증이 늘고, 과잉행동이나 주의력 결핍, 공격성 같은 행동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수면 무호흡증 치료는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 수술이 최선이다. 꼭 수술해야 하는지, 수술해도 재발하지 않는지, 편도 제거시 문제가 생기지 않는지 부모들의 걱정이 많다.
강동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이건희 교수는 26일 “어른과 달리 어린이 코골이 혹은 수면무호흡증은 ‘피타(PITA) 수술’만으로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편도 절제술은 편도는 물론 편도가 붙어있는 일부 피막, 근육층까지 제거해 출혈 위험이 높고 맛을 느끼는 신경을 건드릴 수 있어 미각 손상의 위험까지 있었다.
특히 성인도 참을 수 없는 통증은 수술을 기피하는 가장 큰 원인이었다. 하지만 피타 수술은 편도가 붙어있는 피막은 제외하고 편도만 제거할 수 있다.
이 교수는 “피타 수술은 정상 조직에 상처를 주지 않고 제거하며 수술 시간도 15~20분 정도로 짧다. 수술 후 통증과 출혈이 적어 회복이 빠르며 3일 지나면 식사까지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