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고의 1위 등극은 중국 커제 9단이 16~17일 열린 ‘2015 해협양안바둑챔피언쟁탈전’에서 스웨 9단(세계 9위)과 탕웨이싱 9단(22위) 등 자국 선수들에게 내리 패배하면서 이뤄졌습니다.
비공식 세계 바둑랭킹 사이트인 고레이팅스(GoRatings)에는 19일 밤 현재 알파고(영국)가 3611점으로 1위에 올라와 있습니다. 그 뒤를 커제(3608점)와 박정환(한국·3588), 이세돌(3556) 등이 잇고 있습니다.

알파고는 지난 3월 이세돌 9단과의 세기의 대결에서 1패를 당하면서 고레이팅스 순위에 진입했습니다. 패배가 있어야 집계에 포함된다고 하는군요. 현재까지 알파고는 8승 1패의 성적을 거뒀습니다.

바둑강국인 우리에게도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돌바람이 있습니다. 30초 안에 100만개의 수를 계산한다는데, 이길 확률이 높은 수를 골라 두는 점에서 알파고와 흡사합니다.
돌바람 실력도 만만치 않습니다. 2015년 중국에서 열린 제1회 미림합배 세계 컴퓨터 토너먼트에서 1위에 오른 전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세계에서만 그랬습니다. 돌바람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제16회 한화생명배 세계 어린이 국수전’에서 초등학생 기사에게 연달아 졌습니다.
2015년 유단자부 우승자인 박동주(11)군은 돌바람과 두 판 맞붙어 모두 불계승을 거뒀습니다. 또 작년 준우승자인 임경찬(10)군은 첫판에서 돌바람에게 패배했지만 두 번째 대국에서 불계승을 거뒀습니다.
한국 바둑이 얼마나 위대한지 한눈에 보여주는 유튜브 동영상이 있습니다. 1974년 1월부터 2016년 3월16일가지 매일매일 집계된 전 세계 바둑랭킹을 그래프로 표시한 영상인데요.
70년대는 일본 바둑 기사들이 세계 랭킹을 휩쓸었습니다. 일본 바둑기사 중 최고수는 역시 조치훈 9단이었습니다. 80년대 들면서 중국 기사들이 일부 두각을 나타냈는데요. 80년대 중반부터는 한국 기사들이 세계 바둑을 호령했습니다. 조훈련 9단을 필두로 88년부터는 이창호 9단과 유창혁 9단이 바통을 이었고 다시 2000년대 중반부터는 이세돌 9단과 박정환 9단이 1,2위를 독식했습니다. 중국의 커제 9단은 2014년 이후 1위에 올랐지만 이제 알파고의 등장으로 1위에서 내려오게 됐는데요.
우리 네티즌들은 승승장구하며 세계 1위까지 오른 알파고와 어린이 기사에게 연패한 돌바람을 바라보며 복잡한 심경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다시 바둑 1위를 탈환하는 날이 과연 올까?”
“알파고 정말 대단하네요. 이건 인류역사의 중대한 사건이다.”
“알파고는 펄펄 나는데, 우리 돌바람은 뭔가요?”
하고 말이죠. 우리 돌바람이 알파고를 무찌르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적은 네티즌도 있군요.
페북지기 초이스 관련기사
▶“노무현은 웃었는데…” 황교안 계란봉변 수사 반발
▶“어디 감히, 11억 중국 거지떼들이” 송영선 폭언
▶“허세버거로 이름 바꿔요” 쉑쉑버거 한국가격 논란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