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협상 결렬에 따라 파업을 결의했다.
전국자동차노조연맹 광주지역버스노동조합은 지난달 30일 오후 8시부터 1일 오전 6시까지 이틀간 조합원 1388명을 상대로 파업 찬반투표를 한 결과 찬성 86%로 파업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개표 결과 전체 조합원 중 1055명이 투표에 참여해 이 가운데 908명이 파업에 찬성했다. 광주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노조는 지난달 30일 열린 4차 조정에서 10시간 넘는 마라톤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실패했다. 이에 전남지방노동위원회는 시급 대비 3.65% 인상을 중재안으로 제시하고 4일까지 조정기간을 연장했다. 노사는 중재안에 대한 수락여부를 결정해 지노위에 통보해야 한다. 노조는 지부장단 회의 등을 열고 지노위 중재안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노사는 지난달 29일 3차 임금조정에서 각각 6.9%와 2.6% 인상안을 제시했다. 이후 30일 열린 4차 조정에서는 각각 3.9%와 3.2% 인상안을 최종 제시해 한걸음씩 물러섰다. 하지만 비정규직인 중형버스 운전원 780여명의 정규직화에 대한 입장차는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측은 만 60세 이후 기존 정규직 호봉을 올리지 않고 중형버스 운전원 수준의 급여를 받는 조건으로 정년을 만 60세에서 65세로 연장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 연료절감장치 설치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도 받아들일 수 있으나 다른 사안은 재정부담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는 밝혔다. 이에 비해 노조는 준공영제 시행 초기 수년간 다른 광역시보다 낮은 임금을 받아왔다며 최소한 대전광역시 수준은 보장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중형버스 운전원 역시 격일제 교대근무 등 격무에도 낮은 연봉과 1년 단위 계약제가 유지돼 개선이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노사는 3월부터 6차례 임금협상을 가졌으나 합의를 이루지 못해 전남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다. 광주시내 98개 노선의 시내버스 1041대를 운행하는 운전원은 중형버스 운전원을 포함해 총 2500여명이다.
광주시와 버스사업조합은 버스 수송률 71% 유지를 목표로 노조에 가입하지 않은 운전원과 휴무조 중형버스 운전원을 투입키로 하는 등 파업에 대비하고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광주시내버스노조 임금협상 결렬에 따라 파업 결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