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정진석 원내대표의 사과를 받아들였다. 유승민 의원 등 무소속 탈당 의원들의 일괄복당 결정으로 빚어진 내홍 사태는 일단 한 고비를 넘긴 셈이다.
그러나 갈등 봉합을 기대하기엔 양측의 간극이 크다. 김 위원장은 “기강이 엉망이다. 자괴감이 느껴진다”며 불쾌감을 토로했고, 친박(친박근혜) 주류는 권성동 사무총장의 사퇴까지 요구하고 있다. 당내 ‘투톱’인 김 위원장과 정 원내대표 모두 이번 사태로 리더십에 생채기를 입었다.
김 위원장과 정 원내대표는 서울 논현동의 한 카페에서 만나 지난 16일 회의과정에서 발생한 언쟁과 당 내홍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정 원내대표가 주말동안 김 위원장에게 사과하겠다며 수차례 만남을 제안했고 김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여 성사됐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진정 잘 해보려 했는데 말할 수 없는 자괴감이 든다”며 “이건 민주주의가 아니고 애당심이나 동지애도 그 자리(16일 회의)에 없었다. 신뢰도 없고 윤리와 기강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다시 당의 화합을 이끌어내고 혁신을 해 나갈지, 심한 자괴감과 회의감이 든다”고 토로했다. 다만 “당이 어려울 때 나로 인해 혼란이 더 가중되는 것은 아닐지 고심이 깊다”며 당무 복귀 여지는 남겼다.
정 원내대표는 “보수정당의 어려운 현실을 보고 안타까워하면서 어려운 결심을 해준 어른께 제가 복당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너무나도 거칠고, 불필요하고, 부적절한 언사를 행한 데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사죄한다”며 당무 복귀를 간청했다.
김 위원장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사과는 진정성이 있다면 수용하겠다”면서도 “(당무 복귀 등) 그 외의 사안들은 좀더 고심하고 고민해야 하니 필요하면 대변인을 통해 말씀드릴 것”이라고 했다. 이날 회동에선 권 사무총장의 사퇴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다고 한다.
친박계는 대응 수위 고심에 빠졌다. 20일 초·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회동도 준비 중이다. 여권 내부에선 김 위원장이 정 원내대표의 사과를 받아들인 만큼 당무거부가 장기화하거나 지도부 공백 사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복당 결정이 비대위 차원에서 이뤄져 되돌릴 명분도 마땅찮다. 친박계로서는 반발의 실익이 없는 셈이다. 다만 친박계 한 의원은 “복당 결정 과정이 매끄럽지 않았다는 사실을 공식화 할 필요는 있다”며 정 원내대표 등의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비박계는 대응을 자제했다. 김영우 비대위원은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정 원내대표가 사과를 했다. 이제는 당이 화합해 전당대회 준비에 매진해야 한다”며 “비상상황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다른 비박계 의원도 “당헌·당규에 따른 절차를 물고 늘어지면 스스로 명분을 잃는 것”이라고 했다.
양측의 갈등은 ‘잠복기’를 거친 뒤 전당대회 과정에서 다시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비박계 내부에서는 유 의원의 복귀로 ‘친박 대세론’을 흔들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됐다는 분위기가 읽힌다. 총선 참패 원인을 분석한 백서 발간 역시 7월 예정돼 있다. 여권 관계자는 “당내 주류인 친박계로서는 이번 사태를 통해 지도부 장악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을 것”이라며 “당권 도전자들에 대한 ‘교통정리’가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김희옥, 정진석 사과 수용했지만 갈등 봉합은 안갯속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