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이 정례화될까. 여소야대(與小野大)로 재편된 20대 국회에서 정부·여당이 야당의 협조를 더욱 적극적으로 끌어내야 하는 만큼 정례화 가능성은 적지 않다. 다만 야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일방통행식 국정 운영에서 탈피하는 모습을 먼저 보여야 의미 있는 소통이 이뤄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언론사 편집·보도국장과의 간담회에서 “3당 대표를 만나는 것을 정례화하는 문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청·여·야 회동’ 정례화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졌다.
문제는 앞서 이뤄진 청와대 회동 이후 오히려 여야의 대립이 격화된 측면이 강했다는 점이다. 박 대통령은 2014년 7월 10일 여야 원내대표, 정책위의장과의 청와대 회동에서 “앞으로 정례적으로 (여야)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등 원내지도부와 회동을 하는 게 어떻겠는가”라며 “양당 대표가 잘 논의해서 답을 달라”고 제안했으나 유야무야됐다. 회동 이후엔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둘러싸고 여야 지도부 간 대화도 원활하게 이어지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도 지난해 3월 17일 김무성 전 대표와 함께 한 청와대 회동에서 “야당 대표를 만나는 것을 정례적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하지만 그 뒤로 공무원연금 개혁안 처리 등을 놓고 여야가 날 선 공방을 반복했다.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와의 청와대 회동은 13일 열린 것까지 포함해 7차례였다. 첫 회동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야 지도부가 함께 만나는 형식이었다. 여야가 서로 하고 싶은 말만 하다가 끝나기 일쑤여서 각 당의 지지층 결집만 노린 게 아니냐는 회의론까지 제기된 바 있다.
더민주는 일단 회동 정례화 논의에서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대 총선 당선인 워크숍 뒤 기자들과 만나 “형식이 아니라 실질적인 성과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자꾸 만나는 모습을 연출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고 했다. 여기에는 자칫 성과도 못 내면서 청와대의 ‘소통 행보’에 들러리만 서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깔려 있다.
국민의당도 청와대의 태도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선거의 민심은 대화하고 협의하라는 것”이라고 했다. 문병호 전략홍보본부장은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칼자루를 쥐고 있는 청와대 측, 박 대통령이 좀더 열린 자세로 대화와 협치 정치를 하겠다고 선언해야 한다”고 했다.
김경택 임성수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靑·與·野 소통 정례화 될까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