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오전 11시쯤 최모(77)씨는 낯선 남성의 전화를 받았다. 이 남성은 “당신 아들을 납치해서 데리고 있으니 돈을 보내라”는 협박이였다. 수화기에서는 아들의 목소리로 들리는 비명소리와 살려달라는 절규가 들려왔다.
마음이 급해진 최씨는 인근 은행을 찾아 수차례에 걸쳐 3300만원을 그들이 불러준 계좌로 보냈다. 전화가 끊긴 이후 마음을 진정시킨 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아들에게 전화를 걸었다. 아들과 통화 후 사기인 것을 알았지만 이미 돈은 통장에서 빠져나간 뒤였다.
김모(31·여)씨는 신용등급이 낮아 은행권 대출이 어려워지자 저금리로 대출을 해준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고 전화를 했다. 이들은 정부가 지원하는 저금리 상품을 연계해 준다며 일부 금액을 상환해야 한다는 이유로 수십만원을 요구했다. 김씨는 급한 대로 50만원을 입금했고 이후 이들은 연락을 끊었다.
경기도 일산경찰서는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금융기관을 사칭하거나 자녀를 납치했다고 협박해 최씨 등 1967명을 상대로 61억5200만원 상당의 금품을 챙긴 장모(20)씨 등 14명을 사기 및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구속하고 8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들은 중국과 필리핀 등에 사무실을 차려놓고 피해자가 미리 준비해 둔 대포통장에 돈을 입금하면 해외 SNS를 이용해 인출책에게 돈을 찾아 송금할 것을 지시하고 환전상 등을 거쳐 중간관리자에게 입금하도록 하는 등 철저히 역할을 분담해 왔다.
취업사이트를 통해 인출책과 통장모집책 등을 구해 온 이들은 대부분 취업난에 시달리는 20대 초·중반을 중심으로 취업면접까지 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매달 1000만원 이상의 고수익에 현혹돼 친구들까지 범행에 가담하도록 하기도 했다.
또 범행에 이용된 521개 대포통장을 전국적으로 유통하기 위해 전문적인 퀵 배달 업체에 배송료의 3배를 지급하는 조건으로 CCTV나 인적이 드문 가정집 우체통에 대포통장을 넣고 가는 방법으로 경찰의 추적도 피해왔다.
50~100원을 주고 매입한 개인정보로 자녀납치 등에 사용하기도 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피해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계좌분석 등 여죄를 캐는 한편 해외에 체류 중인 공범에 대한 국제공조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대부분 취업난을 겪고 있는 20대 초반에 청년들이 쉽게 빠져든 것 같아 안타깝다”며 “경찰청 사이버캅을 설치하면 경찰에 등록되거나 범죄에 관련된 전화번호로 문자나 전화가 오면 스마트폰 화면에 알림 창을 띄워 피해를 막아준다”고 조언했다.
고양=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00여명 60억원대 보이스피싱 사기단 검거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