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참사 2주기를 맞아 의문으로 남았던 당시 사건 기록이 다시 파헤쳐졌다.
16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세월호 침몰 당시 왜 골든타임을 놓치게 됐는지에 대해 조명했다. 먼저 국가정보원과 청해진해운의 관계가 폭로됐다. 잠수부들이 건져낸 디지털 영상 장치(DVR)와 노트북을 통해서다.
청해진해운 직원 소유로 추정되는 노트북에서 ‘선내 여객 구역 작업 예정 사항-국정원 지적 사항’이라는 제목의 문서가 나왔다. 국정원이 세월호 운영 전반에 관여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들이 담겨있었다.
제작진은 사고 당시 출동한 해경 구조선박 123정의 소극적인 구조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123정 김경일 정장은 해경 중 유일하게 형사처벌 대상이 된 인물이다.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김 정장은 “(당시) 나는 사진을 하나도 찍지 않았다”고 진술했으나 그의 핸드폰에서는 현장사진 6장이 찍혀 있었다. 긴박한 순간에 왜 사진을 찍고 있었는지에 대한 답은 해경본청과 청와대간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었다.
방송에서 공개된 녹취록에 따르면 청와대는 배 이름, 도착 예정지, 몇 톤 급인지 등 정확한 정보를 요구했다. 정당한 절차였다고 볼 수도 있으나 결과적으로 심각한 역효과를 초래했다. 청와대 요구를 받은 123정이 구조 작업보다 구조자 숫자 세기에 집중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당시 청와대 측은 ‘VIP의 메시지’도 전달했다. “단 한 명도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는 것과 “여객선 내의 객실, 엔진실 등을 철저히 확인해서 누락되는 인원이 없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이 메시지를 메모해 청장에게 전달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청와대 측은 또 사고 현장 영상을 요구하며 수차례 구조인원 파악을 명령했다. 영상 시스템이 10분 뒤쯤 도착할 거라는 해경 보고에 청와대 측은 “도착하는 대로 영상 바로 띄우라고 해라. 그것부터 하라고 하라. 다른 것 하지 말고”라고 말했다.
이 대화가 오간 시간은 세월호 선채가 가라앉기 직전인 오전 10시52분쯤이었다고 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8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