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산에서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기 위한 2주기 행사가 열렸다.
4·16가족협의회는 16일 오전 안산 화랑유원지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세월호참사 2년 기억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유가족, 학생, 시민, 정치인 등 3000여명이 모였다. 오전 10시 정각 추모 싸이렌이 1분 동안 울리자 분향소 앞에 모였던 참가자들은 일제히 자리에서 일어나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묵념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위원장은 “304명의 희생자와 미수습자를 기억하기 위해 함께해준 여러분께 고맙다”며 “‘아직도 세월호냐’라고 묻는 분들이 있는데, 우리도 그날을 벗어나고 싶다. 왜 그랬는지, 아이들이 왜 죽었는지 밝혀내고 책임질 사람들이 책임지면 우리도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 위원장은 “대통령과 19대 국회가 약속한 특별검사제도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며 “부디 진상조사가 조기에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게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시민들을 향해서는 “진상이 밝혀질 때까지 노란리본을 달고 함께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304명의 생명이 5000만명 국민의 생명·안전과 똑같다는 것을 잊지 않고 함께 해달라고 당부했다.
고 박예슬(참사 당시 단원고2)양의 동생 예진(고2)양은 언니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편지로 낭독했다. 예진양은 “눈을 가린 정부를 향해 말한다. 우리는 그동안 진상규명과 단원고 교실존치를 위해 싸웠다”며 “단순히 왜 죽었는지가 아니다. (싸움의 방향은) 참사의 진실을 감추고 있는 정부를 향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제종길 안산시장, 이재정 경기도교육감도 기억식에 참석해 진상규명과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이준식 사회부총리는 참사를 잊지 않고,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 순서에는 학생, 학부모, 시민단체 관계자, 종교인 등 12명이 ‘안산시민 공동선언문’을 낭독했다. 이들은 선언문을 통해 “304명을 구하지 않은 정부, 피해자에게 상처를 준 정치인, 안전사회를 만들겠다는 대통령의 약속 등 10개를 기억하겠다”며 “세월호 선체 인양과 조사,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개정, 대통령이 안전사회 기틀을 만들 것 등 10개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세월호 참사 기억하기 위한 2주기 행사 열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