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성적표에 따라 여야 권력 구도 요동”

Է:2016-04-12 16:02
ϱ
ũ
“총선 성적표에 따라 여야 권력 구도 요동”
4·13총선 성적표에 따라 향후 여야의 권력 구도가 요동칠 전망이다. 이번 총선은 박근혜정부 임기 후반 국정운영의 동력 확보가 달려 있을 뿐 아니라 내년 대선을 앞둔 여야 당권 투쟁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레임덕 가시화·당권 투쟁 분기점=정부·여당으로선 박근혜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노동개혁 등 4대 개혁이 힘을 받거나 권력 누수 현상이 빨라지게 되는 갈림길에 선 것이다. 새누리당이 박 대통령 임기 후반을 뒷받침해 달라며 ‘읍소 전략’을 펴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전체 의석 확보와 별개로 이른바 진박(진실한 친박근혜) 대 무소속 후보 간 ‘대구 대첩’의 승패 역시 향후 여권의 권력 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당권 투쟁의 출발선도 이번 총선 이후다. 김무성 대표가 총선 결과와 무관하게 대표직 사퇴를 선언한 만큼 7월 이전에 조기 전당대회를 치를 가능성도 있다. 과반에 미달하면 김 대표뿐 아니라 친박(친박근혜) 주류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 공천을 주도한 친박계가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계파 갈등에 대한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160석 이상 안정적 과반 의석을 확보하면 계파 간 갈등은 잠시 소강상태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계파 간 전면전은 이미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다. 공천탈락 이후 무소속 출마한 이재오 유승민 의원 등에 대한 복당 문제가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구나 새로 꾸려질 당 지도부는 내년 대선을 관리하게 되는 만큼 계파 간 사활을 건 세력 확보전이 이미 예고돼 있다. 이에 앞선 원내대표 경선부터 당내 주도권 싸움이 불붙을 전망이다.

여권 관계자는 12일 “차기 당권을 놓고 친박 쪽에선 서청원 최고위원, 최경환 의원, 원유철 원내대표 등판설이 나온다”고 전했다.

◇야권 분열 책임론은 어디로=이번 총선으로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가 형성될 경우 야권은 총선 민심을 등에 업고 대여 공세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공세 모드를 가져가는 호기를 맞은 셈이다. 다만 야권 분열 상황에서 치러지는 이번 총선에서 야당이 대승을 거둔다는 관측은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더민주 입장에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스스로 밝힌 ‘107석 마지노선’을 사수하느냐가 관건이다. 110석 안팎의 의석수를 얻으면 당분간 순항할 수 있지만 100석도 못 챙기고 참패하면 계파 갈등은 정점을 칠 수밖에 없다. 김 대표가 사퇴하고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한 책임론도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문 전 대표는 “호남이 저에 대한 지지를 거둔다면 미련 없이 정치일선에서 물러나고 대선에도 도전하지 않겠다”고 말한 바 있다.

국민의당은 30석 이상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이 목표를 달성할 경우 국민의당은 호남 지역을 지지 기반으로 한 ‘원내 캐스팅보트’로서 입지를 다질 수 있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각각 확보한 의석수를 합친 것이 분당 이전의 130석 안팎에도 못 미칠 경우 야권 분열 책임론은 극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총선 이후 야권 통합 논의 역시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다. 총선 성적표에 따라 통합 주도권을 행사하려는 세력이 생길 수 있다는 의미에서다. 야권 차기 대권 레이스에선 문 전 대표나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