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주 ‘농약사이다’, 청송 ‘농약소주’ 사건 등 최근 고독성 농약 ‘메소밀’을 이용한 살인사건이 잇따르면서 정부와 지자체들이 고독성 농약 수거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생산 중단·사용 금지 후에도 암암리에 유통된 제품들이 많아 제대로 수거될지는 미지수다.
대구시는 이달 말까지 지역 내 농가 등을 대상으로 메소밀 등 고독성 농약 9종을 수거한다고 6일 밝혔다. 이달 초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메소밀 등을 수거해달라는 공문을 받았고, 인근 경북에서 메소밀 사용 살인사건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경북도 역시 이달 말까지 농산물품질관리원 등과 함께 최근 3년간 메소밀을 구입한 농가 등을 대상으로 수거에 나선다. 울산, 경기도, 전남 등 다른 지자체들도 마찬가지다. 지자체들은 미개봉 농약 판매가 2배 보상, 이전까지 보상하지 않았던 사용하다 남은 메소밀 농약 개당 5000원 보상 등의 조건을 내걸었다.
메소밀을 포함한 9종의 고독성 농약은 2011년 12월 등록이 취소돼 2012년 생산중단 됐으며, 2015년 11월부터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하지만 생산이 중단되고, 사용금지 된 후에도 거래는 활발하게 이뤄졌고, 수년이 지나면서 구입·판매 경로 등도 확인이 어려워졌다.
앞서 정부와 지자체가 수차례 수거에 나섰지만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경로 추적이 어려운 농약 소유자들이 자발적으로 신고·반납하는 경우가 적었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수거사업도 만족할만한 성과를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매매 이력이 없는 고독성 농약 제품이 많아 수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자진 반납이 이뤄질 수 있도록 대대적으로 홍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농약사이다' '농약소주' 잇따른 농약 살인사건에 '메소밀' 수거 비상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