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남성 청년층의 고용률이 크게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성엽 한은 거시경제연구실 전문연구원은 6일 ‘정책금리 변동이 성별·세대별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국내 기준금리 인상 충격이 발생하면 남성 청년층의 고용률은 뚜렷한 감소반응을 보인 반면 여성 청년층이나 중장년층의 경우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자금조달비용이 높아져 직원을 뽑을 유인이 줄어든다. 정 전문연구원은 “청년층은 실업률과 비정규직 비중이 높아 기업의 노동수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중장년층의 경우 실물자산 보유 비중이 높고 가계부채 부담이 커 노동시장에 진입해야 할 필요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중장년층의 경우에는 기업이 채용을 줄여도 일자리를 얻으려는 의지가 강해 고용률 감소효과가 줄어든다. 중장년층은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저축을 통한 금융자산 보유 성향이 높아지고, 부동산·주식시장에 몰리는 돈이 줄어 자산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취업 쪽으로 눈을 돌린다는 얘기다. 중장년층 중에서도 여성들의 취업 의지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기준금리 상승하면 남성 청년층 고용률에 가장 큰 타격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