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나 인지 행동치료로도 개선되지 않는 강박증을 초음파 치료로 극복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집적 자기 공명 영상 유도하 초음파 수술’(MRgFUS)이란 제법 긴 이름을 가진 이 시술은 두개골을 열고 뇌조직을 절제하는 방식이 아니어서 출혈 및 감염 위험도 없다.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장진우(신경외과)·김찬형(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3년 2~5월, 어떤 약물치료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 강박장애 환자 4명에게 ‘고집적 자기 공명 영상 유도하 초음파’를 이용한 양측 전피막 절제술(bilateral anterior capsulotomy)을 시행했다.
이 수술은 약 1000개의 초음파 발생 장치를 이용해 뇌에서 강박증상을 일으키는 ‘내포전각’ 부위 한 곳에 집중적으로 650㎑ 출력의 초음파를 쏴 피막을 깨는(절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MRI를 통해 실시간으로 초음파 조사 부위를 관찰하며 시술하기 때문에 오차 범위도 1㎜를 벗어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후 6개월까지 주기적으로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사회적 기능평가, 강박증 평가 척도(Y-BOCS), 우울증 척도(HAM-D), 불안증 척도(HAM-A)를 측정했다.
그 결과, 강박증 평가 척도(Y-BOCS), 우울증 척도(HAM-D), 불안증 척도(HAM-A) 등 모든 측정치가 초음파 수술 1주일 후부터 개선되기 시작해 6개월간 지속됐다.
증상별로는 강박장애 증상이 평균 33%, 우울증상은 68.2%, 불안증상은 61.1%가 각각 감소됐다. 초음파 수술과 관련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장진우 교수는 “뇌 과학 연구 결과로 뇌의 전두엽과 변연계 회로를 연결시키는 내포전각이 강박장애와 연관돼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부위에 초음파를 집중해 열에너지를 가하면 뇌의 회로 일부가 차단돼 강박증상이 개선되는 원리”라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이어 “장기간의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도 효과가 없던 강박장애 환자에게 뇌심부 자극술 같은 외과적 수술이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머리를 열고 시행하는 방법이라 출혈과 감염 등 합병증 발생 가능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몸 밖의 여러 부위에서 초음파를 쬐는 치료는 절개가 없고 짧은 시간에 종료되기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통증을 느끼지 않아 전신 마취도 필요 없다. 환자들은 수술 직후 식사를 하고 담소까지 나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연세의대 장진우 김찬형 교수팀, 초음파로 중증 강박장애 잡는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