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 1마리가 추가로 발견됐다. 특히 그동안 파악되지 않는 개체로 자연 상태에서 태어난 ‘손주 세대’다. 현재 지리산에 사는 것으로 확인된 반달곰은 39마리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해 9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포획한 반달가슴곰 1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그동안 파악되지 않은 개체로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새로 확인된 곰은 체중 60㎏인 3년생(2013년 출생 추정) 수컷이다. 유전자 분석을 통해 아빠 곰은 2005년 방사된 러시아산으로 파악됐다. 엄마 곰의 경우 기존 반달곰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DB)에선 일치하는 유전자가 없다. 공단이 방사한 곰은 아니라는 얘기다.
토종 야생 곰이거나 인근 지역 사육 곰일 가능성도 거의 없다. 이런 곰은 종이 달라서 이번에 발견된 반달곰을 낳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엄마 곰은 지리산에 방사된 곰들이 야생에서 낳은 ‘자연출산 1세대’로, 이번 새끼 곰은 그런 어미가 낳은 ‘손주 세대’로 추정된다. 곰은 태어난 지 5년 이후부터 새끼를 출산할 수 있다.
반달가슴곰은 밀렵, 서식지 단절 및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해 멸종위기종 1급 및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지정됐다. 공단은 2004년부터 러시아와 북한에서 반달곰을 도입해 지리산에 방사했다. 이후 개체 수가 늘어나 모든 곰을 추적하기가 어려워졌고, 야생성이 높아져 직접 포획도 쉽지 않다.
공단은 2013년부터 반달곰의 모근, 배설물 등에서 DNA를 추출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식별하는 방법을 쓴다. 공단은 2004년 이후 지리산에서 살았거나 현재 서식하는 반달곰 총 52마리의 유전자를 확보·분석해 DB를 구축했다. 가계도도 만들어 곰 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반달가슴곰 복원 10년 만에 자연출산 ‘손주곰’ 태어났다…1마리 추가 발견해 총 39마리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