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암과 원발암은 유전자 변이 과정에서 각각 다른 유전적 특질을 갖게 된다는 것을 국내 의료진이 밝혀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백선하(신경외과), 박성혜(병리과) 교수팀이 미국 하버드의대 부속 메사추세츠종합병원(MGH) 종양내과 프리실라 브라스티아노스 교수, 다나파버 암연구소 종양내과 윌리엄 한 교수 등과 공동으로 전이성 뇌종양의 유전적 특질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캔서 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 온라인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백 교수팀은 전이성 뇌종양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원발암과의 유전적 차이를 비교했다. 원발암이란 암세포가 처음으로 발생한 부위의 암을 가리킨다. 이 암세포가 뇌로 이사를 간 것이 전이성 뇌종양이다. 조사대상 전이성 뇌종양 환자의 원발암은 폐암이 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유방암 21명, 신장암 10명, 기타 암 17명 순서였다.
조사결과 전체 대상자 중 53%(46명)에서 전이성 뇌종양이 원발암과 다른 유전자 변이를 보였다. 즉 같은 암세포라도 원발 부위와 전이된 뇌 부위의 암세포 유전자 변이가 서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전이성 뇌종양의 표적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발견으로 전이성 뇌종양만이 가지는 변이의 특성에 맞게 표적치료 계획을 세워야 함을 의미한다.
백 교수팀은 또한 전이성 뇌종양끼리는 동일한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음도 밝혀냈다. 이 변이는 원발암은 물론 머리 외 부위 및 림프절로 전이된 종양에서도 전혀 나타나지 않은 전이성 뇌종양만의 특징이었다.
백 교수는 “기존의 전이성 뇌종양 환자의 표적치료는 원발성 종양의 결과에 큰 영향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전이성 뇌종양에서 원발성 종양에는 없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큰 유전자 변이들을 발견했다”며 “향후 전이성 뇌종양 연구와 치료법 결정에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병원은 2013년부터 MGH와 협력연구를 해오고 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전이암은 원발암과 근본이 같아도 유전적 변이가 다르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