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전략공천에 달렸다” 청와대-김무성, 접점이 안보인다

Է:2015-10-01 12:50
ϱ
ũ
“문제는 전략공천에 달렸다” 청와대-김무성, 접점이 안보인다
"언제 전략공천을 한 적이 있느냐."(이정현 최고위원) "내가 바로 전략공천의 피해자다."(김을동 최고위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불참한 채 열린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벌어진 신경전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하는 이 최고위원이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잠정 합의한 김 대표를 겨냥하자, 김 최고위원이 반박하며 벌어진 장면이다.

친박계는 전략공천의 가능성을 애써 부인하고, 비박계는 전략공천의 우려 때문에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맞서는 형국이다.

전략공천이라는 말은 본디 총선이나 지방선거에서 당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하거나 특별한 판단을 하는 지역구에 당 지도부에서 특정후보를 지명하거나 영입해서 공천하는 경우를 말한다. 과거 여야 정당이 두루 활용한 제도이다.

그러나 과거 '전략공천'이 당내 주류세력에 반기를 들거나 협조적이지 않은 후보를 탈락시키거나 자파 세력을 확대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는 점이 논란의 충돌지점이다.

현재 새누리당에서 공천 방식을 놓고 벌어지는 내홍의 이면에는 공천 주도권을 누가 잡느냐, 특히 '전략공천' 문제를 어떻게 푸느냐는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친박계는 여러 표현은 달리하지만 장점을 들어 '전략공천'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이고, 비박계는 '표적 낙천'의 폐해를 들어 전략공천의 공간을 열어둬선 안된다는 것이다.

정작 유권자에게는 이름도 생소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둘러싼 지금까지의 공방은 앞으로 내년 4월 총선까지 전개될 소용돌이의 서막에 불과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전날 양대 계파가 충돌한 의원총회가 탐색전 정도였다면 의총에서 구성키로 합의한 '공천제도논의 특별기구'는 실제 포문이 불을 뿜는 전장이 될 공산이 크다.

대통령 정무특보인 김재원 의원은 '한수진의 SBS전망대'에서 "현재의 당헌·당규에 이미 전략 공천은 없어졌다"면서 "다만 우리 후보가 경쟁 후보와 비교해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질 때 경쟁력 있는 사람을 모셔 오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친박계가 어떤 형태의 공천제도를 원하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예컨대 국민공천제를 통해 후보를 선출했다고 해도 당 공천심사위원회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할 경우 대체 후보를 찾을 수 있다는 수단을 제도에 마련하자는 의도다.

현재의 당 지도부가 제도상의 국민공천제를 이유로 "국민이 후보를 선출했는데 어떻게 하겠느냐"고 반발하더라도 경쟁력을 내세워 후보 교체를 요구할 수 있는 공간이 열리는 것이다.

청와대로서는 '불감청고소원'(不敢請固所願·청하지는 못하나 몹시 바람)이다.

◇친박과 비박의 계산과 시나리오 = 박 대통령의 집권 4년차에도 권력 누수 현상 없이 국정 장악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총선에서 최대한 자파 세력을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여의도 현안에는 거리를 뒀던 청와대가, 가장 정치적 문제인 공천 논의에 의견을 개진한 것은 현 정부의 친박계 주류 세력이 이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바라보는지 방증하는 대목이다.

이미 전날 당에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 공천 논의를 김 대표의 손에서 공식 기구로 옮겨 놓는 성과를 거둔 청와대로서는 당분간 다시 짐짓 거리두기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나아가 이미 실력 행사에 나선 친박계는 특별기구에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흔들어 김 대표를 계속 궁지로 몰아가고, 궁극적으로는 지도부 교체까지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이미 신(新) 친박 범주에 들어간 원유철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를 맡고, 연말 당에 복귀할 것으로 점쳐지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당을 접수한다는 시나리오다.

반면, 전날 의총 결과를 두고 비박계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의원들의 공감대를 넓혔으며, 역선택을 포함한 예상되는 문제점은 수정·보완만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결국 전략공천을 통한 공천 지분을 인정할 것이냐가 관건인데 "공천권을 절대 행사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김 대표로서는 더 밀리면 앞으로 대권 가도는 물론 정치 생명까지 위태로울 수 있는 상황이다.

이미 유권자가 직접 투표로 후보를 선택하는 미국식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포기한 마당에 더는 물러설 곳도 없다.

이 때문에 김 대표는 '줄세우기 정치', '계보정치'를 양산했던 과거 밀실 공천과 단절하겠다는 명분을 앞세우고 일사 항전의 의지를 내비치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와 친박이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의 부작용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파고드는 것도 공천에 개입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면서 명분 싸움을 피해가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결국 명분과 힘의 대결이다.

수적으로는 비박계가 우세한 게 현실이다. 게다가 현역 의원에 프리미엄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 결국은 의원들이 동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명분과 세력에서 밀리지 않는다는 믿음이다.

그러나 당내 계파 분포와는 별개로 당내 힘의 균형추는 지난 7월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한 이후 청와대와 친박계로 기울었다는 게 중론이다.

당시에도 국회법 개정을 통해 입법부인 국회가 정부의 시행령에 대한 견제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명분을 갖췄지만 결국 청와대의 거부권 행사 이후 힘의 논리에 따라 맥없이 무너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