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0대 기업에 몸담은 외국인 임원이 1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100대 기업 전체 임원은 6928명으로 이중 18개사에 외국인 임원 101명이 소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임원 비중은 1.5%다.
단일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단연 최다를 기록했다. 전체 숫자의 절반이 넘는 57명이 외국인 임원이다. 해외 핵심 인재 영입에도 상당히 공을 들인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28일 ‘2015년 국내 100대 기업 내외국인 임원 현황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 대상 기업은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사로 매출 기준으로 100대 순위를 가렸다. 외국인 임원은 반기보고서에 명시된 현황을 기준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그룹 계열사에는 최근 통합 출범한 삼성물산(13명), 삼성엔지니어링(6명), 삼성SDI(3명), 삼성전기(2명) 등 모두 81명의 외국인 임원이 포진해있다. 100대 기업 외국인 임원 10명 중 8명은 ‘삼성맨’인 셈이다.
삼성전자에는 부사장급 외국인 임원도 3명이나 된다. 팀 백스터(54), 왕통(53), 데이빗 스틸(49) 부사장이다.
미국 로저 윌리엄스대 출신의 백스터 부사장은 미국법인에 재직 중이고 중국 북경우전대(北京郵電大) 출신인 왕통 부사장은 중국판매법인 담당 임원이다. MIT 박사 출신의 스틸 부사장은 북미총괄 기획홍보팀장으로 활약했고 현재 커뮤니케이션팀 소속 임원이다.
한온시스템(구 한라비스테온공조) 4명, LG전자 3명, 현대자동차·대한항공·CJ제일제당 각 2명이 외국인 임원 수로 삼성 뒤를 이었다.
순혈주의가 강한 포스코를 비롯한 철강업체와 조선·중공업 부문에는 외국인 임원이 단 한 명도 없었다.
외국인 임원의 평균 연령은 52.8세로 확인됐다. 최고령 임원은 올해 68세로 SK이노베이션에 재직 중인 라그하반 아이어 수석연구원이다. 아이어 수석연구원은 2013년 11월 SK이노베이션 임원으로 합류했다. 최연소 외국인 임원은 인도 출신 과학자이자 엔지니어인 삼성전자의 프라나브 미스트리 연구위원(34)이다.
외국인 임원 중 60대는 13명이고, 50대는 52명, 40대는 35명, 30대는 1명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등기임원으로는 에쓰오일을 이끄는 나세르 알 마하셔 대표이사가 있다.
성별로는 남성이 97명으로 압도적이었고 여성 임원은 4명뿐이었다. 4명 중 3명은 삼성전자에 재직 중이다. 사라즈미 요시미(56·여) 연구위원, 로빈 비양폐(56·여) 전문위원, 장단단(51·여) 상무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국내 100대 기업 외국인 임원 100명 넘어, 절반 넘게 삼성전자에 포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