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다음 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앞두고 제4차 핵실험 등의 전략적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한국과 러시아가 고위급 외교·안보 채널을 가동하고 대응방안을 협의했다.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주철기 외교안보수석은 21일 청와대에서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러시아 연방안보회의 서기와 각각 면담하고 양국 관계 및 남북러 3각 협력 방안,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정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및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관련 협력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협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특히 양측은 이날 면담에서 최근 남북관계 현황 및 북한의 전략적 도발 가능성 등을 포함한 북핵·미사일 문제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고, 역내 평화와 안정 촉진을 위해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우리측은 이날 면담에서 북한이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앞두고 최근 장거리 로켓 발사에 이어 4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시사하면서 도발 위협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과 북한의 대외 관계에서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점 등을 거론하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도발을 해서는 안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해줄 것을 요청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 역시 그동안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금지한 북한의 핵실험이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해왔다.
이런 점에서 양측이 이번에 지역내 평화와 안정 촉진을 위해 계속 협의키로 한 것은 북한의 도발을 억지하고 도발시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대응하는 문제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분석된다.
양측은 또 한러 관계와 관련, 수교 25주년(9월30일)을 맞이해 양국 관계를 호혜적·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평가하고 이런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상호 의지를 확인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특히 양측은 극동 지역이 양국간 협력의 잠재력이 큰 지역이라는데 공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극동 선도개발지구와 블라디보스토크 자유무역항 등 새로운 개발·투자정책을 계기로 한 우리 기업의 진출 확대 가능성과 남북러 3각 협력에 관한 의견도 교환했다.
이밖에 우리측은 박근혜 대통령의 동북아평화협력구상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설명했으며 양측은 동북아와 유라시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의 잠재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앞으로 외교·안보 고위급 협의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연방안보회의는 러시아 헌법상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가안보 관련 최고 협의체로, 파트루세프 서기는 연방 안보회의 사무국의 최고 책임자다.
이번 면담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측근이자 러시아 외교·안보정책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파르루세프 서기가 21일 하루 일정으로 방한하면서 이뤄졌다.
파트루세프 서기의 방한은 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으로 파르투세프 서기측이 일본을 방문하면서 그에 앞서 우리측에 방문하고 싶다는 뜻을 전하면서 성사됐다.
파트루세프 서기는 2012년 10월 방한한 바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김관진 靑안보실장-러 안보회의 서기 면담…북핵·미사일 협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