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16일 중앙위원회에서 우여곡절 끝에 혁신안을 의결했지만, 비주류측이 거세게 반발해 만만치않은 후폭풍을 예고했다.
특히 문재인 대표가 중앙위의 혁신안 통과와 별개로 추석전까지 재신임 절차를 밟겠다고 공언하면서 재신임 투표 연기·철회를 요구하는 비주류와 더 격렬한 2라운드 대치가 예상된다.
이날 중앙위에서 공천혁신안이 박수로 의결된 것을 두고 주류와 비주류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문 대표는 "혁신은 이제 시작"이라며 "당 내부를 망라하는 통합으로 다음 총선에서 이기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중앙위 의장을 맡은 김성곤 의원도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며 "회의 말미에 이종걸 원내대표가 야권의 대통합을 위해 당대표가 직을 걸고 앞장서달라고 제안했는데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비주류 의원들이 중도퇴장한 일에는 "다수가 본 안건이 인사문제가 아니므로 기립 혹은 거수로 처리하는 데 동의했다"며 "그럼에도 무기명 투표만을 주장하는 일부 중앙위원들이 퇴장한 것은 유감스럽다"고 했다.
반면 비주류 의원들은 중앙위가 시작하자마자 "민주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의결을 강행하려 한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조경태 의원은 공개발언에서 "문 대표는 계파의 대표, 패거리 정치의 대표가 될 거라면 자리에서 즉각 내려오라"며 "말로만 선당후사 하지 말라"고 했다.
김동철 의원도 "문 대표가 살신성인하라"고 요구했고, 일각에서는 "혁신안은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되 대신 문 대표가 사퇴하라"는 주장도 흘러나왔다.
개회 후 400여명을 넘어섰던 중앙위원의 수는 표결이 다가오며 속속 빠져나가 혁신안 표결 당시에는 50여명 이상 줄어든 340명만 남았다.
이런 저항에도 혁신안이 박수로 의결되자 비주류의 반발은 극에 달했다.
의결 전 회의장을 떠난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트위터에 "중앙위는 상처뿐인 상처였다. 주류는 몰아치고 비주류는 초라했다"며 "문 대표는 왜 그렇게 몰아부치고 재신임까지 걸었나"라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과 당원을 둘로 가르는 선택을 강요하나"라며 "문 대표의 결단만이 당을 구하고 분열을 막는다. 목표는 정권교체"라고 거듭 촉구했다.
김영환 의원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 등 12명은 중앙위 후 긴급회동을 갖고 "이번 혁신안은 절차적 하자가 있고, 내용도 본질과 동떨어졌다"는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최고위원 7명 중 4명이 공천안 상정에 반대했음에도 중앙위가 강행됐고, 공개투표를 밀어붙여 사실상 찬성을 강요했다"며 "투표조차 진행하지 않아 반대의견은 묵살됐다"고 지적했다.
최원식 의원은 "구태정치이자 패권의 민낯"이라며 "혁신이 유신이 됐다"고 날을 세웠고, 주승용 최고위원은 페이스북 글에서 "제왕적 총재시대가 부활하는 것 같아 씁쓸하다는 말도 들었다. 패권정치와 결연히 맞서겠다"고 했다.
조경태 의원 역시 "문 대표의 거취와 친노패권세력의 청산이 핵심 쟁점이 돼야 하는데, 알맹이는 빠지고 쭉정이만 남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화철 전 인터넷소통위원장은 페이스북 글에서 "북한 공산당의 투표방식을 아는가"라며 "공산당 독재 투표도 99%인데, 우리당이 공산당보다 더 심한 100% 만장일치로 공개투표를 했다"고 비판했다.
이제까지 공천혁신안과 재신임 문제가 섞여있던 주류와 비주류간 전선은 이날 의결을 통해 '문 대표의 거취'로 명확히 좁혀졌다. 이에 따라 문 대표가 조만간 실시하겠다고 밝힌 재신임투표가 뇌관으로 떠올랐다.
문 대표는 중앙위 후 "추석 전까지 (재신임을)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주류 측은 재신임 투표가 오히려 당의 분열을 불러온다며 연기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비주류의 한 관계자는 "당을 둘로 나눠 자신을 지지하는 쪽만 데려 가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상황에서 문 대표가 재신임 투표를 강행하면 비주류 측의 거센 반발을 불러오면서, 비주류 인사들에게 탈당이나 분당의 명분을 주는 등 원심력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野 비주류 “상처뿐인 상처, 혁신 아닌 유신”…北 공산당 투표 비유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