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노동당 창건일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모처럼 개선 기회를 잡았던 남북관계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 국장은 14일 조선중앙통신과의 문답 형식으로 "세계는 앞으로 선군조선의 위성들이 우리 당 중앙이 결심한 시간과 장소에서 대지를 박차고 창공 높이 계속 날아오르는 것을 똑똑히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인 내달 10일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15일 이와 관련해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 내용에 대해 예의 주시 중이며 진의를 파악 중"이라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북한이 실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 남북관계는 다시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 가능성 시사는 남북 당국회담의 시기와 의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남과 북은 지난달 25일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을 통해 당국회담 개최에 전격 합의했다.
이후 북측은 5·24 조치 해제와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이 논의될 가능성이 큰 당국회담을 빨리 열자는 입장을 보인 반면 우리 정부는 "북한의 진정성부터 확인해야 한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여 왔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시사로) 당국회담을 오히려 빨리 개최해야 할 이유가 만들어졌다"면서 "북한의 추가적 행동, 무력시위가 이뤄지지 않도록 남북 당국간 회담을 최대한 빨리 개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당국회담 개최를 선(先) 제안해 정국을 주도하려 들 가능성이 있다"고도 내다봤다.
내달 20∼26일로 잡힌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 역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한국과 미국이 단호히 대응하고 유엔 차원에서 제재가 논의될 경우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북한은 2013년 9월에도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불과 나흘 전 일방적으로 연기한 바 있다.
다만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여부를 예단하긴 이르다는 지적이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 국장은 로켓 발사 시기에 대해 "당 중앙이 결심한 시간과 장소"라고 강조해 여지를 남겼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밤늦게 나온 것을 보면 이번 발언은 미국에 대한 메시지일 수 있다"면서 "실제 행동을 예고한 것이 아니라 한반도 문제에 대한 여론을 주도·탐색 하겠다는 의도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거 사례를 보면 실제 로켓을 발사할 경우 이르면 2개월, 늦으면 열흘 전 포괄적 날짜를 제시했는데 이번에는 그런 것이 없었다"고 설명하면서 "이번 발언에는 미국의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용현 교수는 "미국과 국제사회를 향해 북이 갖고 있는 카드의 유용성을 계속 확인시키면서 이를 통해 남북관계도 북한이 리드하겠다는 측면이 커 보인다"고 진단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8.25 남북 합의 한달도 안됐는데 벌써 남북 경색 국면 전환?” 北 장거리 로켓 발사 시사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