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 바른교육교수연합, 바른교육교사연합 등 21개 교계 및 시민단체는 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20층에서 포럼을 열고 중·고교 역사교과서에 기독교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더 많이 서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발제자들은 “정부가 교육과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지금이 기독교계의 의견을 제출해 반영할 수 있는 적기”라며 한국교회의 관심을 당부했다.
바른교육교수연합 이은선(안양대 기독교문화학과 교수) 공동대표는 ‘종교와 사상을 왜곡한 집필진의 오류’라는 제목의 발표에서 “기독교 역할을 공정하게 서술하기 위해서는 국정 교과서 전환을 검토하거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현 검인정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사 교과서 시안에 기독교 역할이 독립된 항목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공동대표는 “선교사들이 국내에 들어와 교육·의료 활동을 한 것을 단순히 기독교 전파의 수단으로 봐서는 안 된다”면서 “국가가 필요해 승인하고 후원했으며 우리나라 근대화에 기여했으므로 이를 서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항 이후 기독교가 한국 근대화에 기여한 역할을 독립된 항목으로 분명하게 서술할 것을 촉구했다.
바른교육교사연합 유성실(서울 남천초 교사) 공동대표는 ‘2015 역사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수정 건의’라는 발표에서 “한국사 시안에는 유·불교와 도교, 실학, 천주교, 동학까지 자세히 소개돼 있으나 조선말에 들어온 기독교(개신교) 부문은 누락돼 있다”고 비판했다. 유 공동대표는 “독립운동과 국민계몽운동, 교육·의학·사회의 개혁을 주도했던 기독교를 누락시킴으로써 대한민국 근·현대사 발전에 지대한 공을 세운 민족 지도자들의 노력도 동시에 누락됐다”며 “20세기 말 전 국민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기독교인들을 평가절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독교의 유입과 사회변화를 기록해야 오늘날의 상황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계와 시민단체들은 이날 온·오프라인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100만명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보건사회부 장관을 역임한 송정숙 바른사회시민회의 고문은 인사말에서 “교육자, 학부모, 시민단체가 하나 되어 현행 한국사 교과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통해서라도 좌편향되고 왜곡된 역사교육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 사진=강민석 선임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근대화 기여한 기독교, 역사교과서앤 왜 없나?”…20여개 교계 및 시민단체 포럼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