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세균의 감염으로부터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생제 치료가 난청을 조장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이비인후과 구자원(사진) 교수팀이 미국의 오레건 청각연구센터 피터 스테이저(Peter S. Steyger) 교수팀과 함께 공동 연구한 결과 전신감염이 있는 경우 항생제 치료가 이(耳)독성 부작용을 심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3일 주의를 당부했다..
이독성 부작용이란 달팽이관의 청각세포를 손상시켜 난청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의 항생제가 대표적인 이독성 약물로 꼽힌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 항생제는 뇌수막염이나 결핵, 신생아 패혈증, 낭성 섬유증 등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그러나 청력뿐만 아니라 신장기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사용 시 철저한 주의가 필요하다.
구 교수팀은 생쥐 실험을 통해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 항생제인 겐타마이신이 어떤 경로로 난청 발생에 관여하는지 규명하고, 세균 감염이 있는 경우 그 부작용이 훨씬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까지 밝혀냈다.
일반적으로 겐타마이신과 같은 이독성 약물은 세포들 사이에서 이온들이 이동하는 통로로 움직이는데, 연구결과 이온 채널을 통해 달팽이관의 청각세포에 겐타마이신 성분이 축적되면 청각세포가 파괴되고, 그로 인해 난청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그림 참조). 한번 손상된 청각세포는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약물의 사용은 영구적으로 청력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구 교수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생제가 그 대가로 돌이킬 수 없는 청력상실을 유발한다는 것은 매우 가혹하다”며 “이독성 약물을 좀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또 연구결과는 중개의학 전문 과학잡지 ‘사이언스 트랜스레이셔널 메디신’(STM)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겐타미이신 항생제 남용하면 영구 청력상실 부작용 위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