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부진한 협상으로 급부상한 지도부 담판론, 실마리 풀릴까

Է:2015-08-30 16:45
ϱ
ũ
지지부진한 협상으로 급부상한 지도부 담판론, 실마리 풀릴까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내년 총선룰을 위한 ‘여야 지도부 협상 가능성’을 언급하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좋은 이야기”라고 화답했다. 여야간 논의가 평행선만 그리며 지지부진하자 ‘지도부 담판론’이 힘을 받는 모양새다. 그러나 양측 모두 기존 입장에서 양보할 의사는 비추지 않고 있어 논의 진척에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양당은 이번 주말동안 총선룰 일괄타결을 위한 지도부 회동에 인식을 같이 했다. 선거구획정기준 논의를 위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활동기간 만료를 하루 앞둔 30일에도 타협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수활동비 문제로 여야가 충돌하면서 본회의 일정 합의도 무산돼 정개특위 기간 연장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김 대표는 지난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광복 70주년 기념 한·중 일제침략만행사진 세계순회전’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선거구 획정 문제가) 정개특위에서 가능한 한 합의될 수 있도록 협상을 더 해보고, 타결되지 않으면 결국 당 지도부끼리 만나 일괄타결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헌법재판소 판결로 지역구를 늘릴 수밖에 없다. 그게 순리”라고 말해 기존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김 대표는 이보다 하루 전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도 같은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한다.

이를 전해들은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함께 논의하는 것이라면 환영한다”고 답했다. 지역구·비례대표 의원수 조정과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한 테이블에 놓고 담판을 짓자는 것이다. 문 대표는 군수 재선거지역인 경남 고성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의원정수를 늘리는 건 국민정서상 어렵고, 비례대표를 줄이는 건 정치발전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해법은 딱 하나밖에 없다.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가면 딜레마들이 한꺼번에 해결된다”고 했다.

야당은 협상 의제에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포함될 경우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새정치연합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나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이 기득권 유지를 위한 ‘세 기둥’(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지역구 확대, 비례대표 축소)을 아무렇지도 않게 세워놓고 간극을 좁히지 않으려 하면 안 된다”며 “야당의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포함해 전반적인 정치개혁 논의를 해야한다”고 했다. 그는 완전국민경선제에 대해 “합의가 되더라도 정당 설계에 따라 법적 합의를 지키면서 현역의원 기득권을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가능하다”고 여지를 뒀다.

그러나 지도부간 담판이 조기 성사될 가능성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선이 대다수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여야간 입장차가 워낙 커 당장 담판을 시작하더라도 성과내기가 어렵다”며 “대국민 홍보전을 통해 여론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