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부터 중단된 경남지역의 무상급식을 올해 재개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경남도와 도교육청이 무상급식 예산을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는 다음 달 8일부터 열리는 제329회 도의회 임시회에 올해 당초 예산보다 1조2833억원이 증액된 8조2775억원 규모의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최근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영유아보육료와 서민복지원사업 등 사회복지분야에 1207억원을 증액 편성했지만, 무상급식 지원 예산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도교육청의 제1회 추경안은 지난달 30일 열린 도의회 정례회에서 통과됐다. 당초 예산보다 2천13억원이 늘어난 4조1645억원 규모다.
올해 당초 예산의 세출 부분에서 경남도와 시·군 무상급식 지원예산인 643억원이 삭감됐다. 100명 이하 소규모 학교에 대해서만 무상급식을 할 수 있는 도교육청 자체 예산 44억원만 반영됐다. 이처럼 도와 교육청의 추경에 무상급식 예산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올해는 지난해 수준의 무상급식 회복은 어려워졌다.
지난해에는 도내 전체 학생 44만7000여명 중 28만5000여명이 무상급식 혜택을 봤다.
도는 “이미 도교육청에서 무상급식 예산을 반영하지 않은 추경을 편성해 도의회 승인을 받았다”며 “도교육청이 예산 편성을 하지 않았는데 지원기관인 도에서 예산을 편성한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
도 관계자는 “사실상 이번에 도의회에 제출한 추경안이 결산 추경이기 때문에 올해는 무상급식 예산을 편성하기 어렵다”며 “도교육청이 도가 지원한 급식경비에 대한 감사를 받고 급식경비 분담비율 등이 결정된다면 내년에는 무상급식 관련 예산 반영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친환경무상급식지키기 경남운동본부’ 등 지역 시민단체와 야권은 도가 무상급식 지원금을 편성하지 않은 데 대해 반발했다.
경남운동본부는 “무상급식 관련 예산을 한 푼도 편성하지 않음에 따라 홍준표 지사는 무상급식 중단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전혀 없음을 확인했다”며 이번 추경안에 2014년 수준의 무상급식 예산을 편성하라고 요구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경남 올해 무상급식 없다” 도·교육청 추경 미반영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