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여 년간 식단이 서구화되면서 설탕·기름·육류 섭취가 늘고 양곡 섭취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수급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전체 에너지 공급량은 1980년 2486㎉에서 2013년 3056㎉로 570㎉(22.9%) 증가했다.
품목별로 구성비를 보면 쌀·감자·콩 등 양곡 비중은 1980년 76.3%였으나 2013년 49.9%로 줄어들었다. 반면 설탕류(4.5%→8.2%)와 유지류(4.9%→17.1%), 축산물(5.6%→13.6%)은 그 비중이 늘었다.
다만 이 비중은 영국(55.9%)·프랑스(59.2%)·미국(64.2%)보다 낮고, 쌀이 주식인 일본(46.2%)·대만(50.1%)과 비교해도 다소 낮은 수준이다.
2013년 기준으로 식품군별 하루 에너지 공급량은 곡물 1377㎉, 유지류 524㎉, 설탕류 250㎉, 육류 264㎉, 채소류 139㎉, 우유류 112㎉ 등으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보면 국민 1인당 연간 설탕류 공급량은 1980년 10.3㎏에서 2013년 23.72㎏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유지류도 5㎏에서 20.76㎏으로 4배 이상 뛰었다. 육류(13.9㎏→49.2㎏), 계란(5.9㎏→10.3㎏), 우유(10.8㎏→61.4㎏) 등 축산물의 공급량이 모두 늘어났다.
이와는 달리 쌀(132.9㎏→77.8㎏)과 보리(14.1㎏→0.94㎏), 감자·고구마 등 서류(21.5㎏→14.8㎏)는 공급량이 큰 폭으로 줄었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건강 관심 높아졌지만 달고 기름진 설탕·기름·육류 섭취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