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 주요 인사들이 최근 당직을 잇따라 맡으면서 비노(非盧) 측이 신당·분당론에서 선회해 '친노(親盧)와의 당내 투쟁' 쪽으로 이동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당무(黨務)에 거리를 둬왔던 비노 인사들은 최근 연이어 당무에 참여했다. 정청래 의원의 '공갈' 발언으로 사퇴했던 주승용 최고위원은 지난 24일 108일 만에 복귀했다. 박지원 의원은 남북 대치 와중에 문재인 대표의 요청으로 당 한반도 평화·안보 특위 위원장을 맡았다.
또 박영선 의원은 여당의 '노동개혁' 이슈에 맞선 당 재벌개혁특위 위원장을 맡아 27일 첫 회의를 여는 등 본격 활동을 시작했다. 앞서 안철수 의원도 지난 7월 국가정보원 해킹 의혹 사건이 불거지자 당 '정보지키기 위원장'을 맡았다.
이는 신당 움직임이 주춤하는 것과 문 대표의 화합 행보가 맞물린 결과라는 해석이다. 비노 측 관계자는 28일 "신당론을 뒷받침할 여론이 형성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문 대표가 비주류에게 당직을 맡기는 등 통합적 당 운영을 하면서 분당론의 명분을 빼앗고 있다"고 했다.
호남 지역 한 의원은 "호남에서도 '친노가 전면에 나서는 것은 싫지만 분당은 안 된다'는 여론이 적지 않다"고 했다. 이 때문에 비노 측이 내년 총선 공천을 놓고 당 내에서 친노 주류와 힘겨루기를 하는 시나리오를 생각 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주류 내에서 '문 대표 사퇴 후 비상대책위 구성' '조기 선대위 구성' 등을 언급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숨 고르기 국면일 뿐 신당론은 언제든 다시 불거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전남도당위원장인 황주홍 의원은 "당내 친노 패권이라는 모순 구조는 그대로다. 신당론은 잠복기일 뿐"이라고 했다. 비노 중진 의원은 신당론에 대해 "물 위에 떠 있는 오리라고 보면 된다"며 "발은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고 했다. 9월 중순 이후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 구성 문제 등 공천 룰이 최종 결정되는 과정에서 충돌이 재점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쑥 들어간 야권 신당론...다음달 혁신안 확정 전후 고비 상존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