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을 기념해 입찰참가 제한 특별사면을 받은 건설업계가 한 자리에 모여 국민 앞에 고개를 숙였다. 업계는 입찰담합 등 불공정한 관행을 뿌리 뽑는 동시에 올해 2000억원 규모의 공익재단을 출범시켜 사회공헌사업을 확대하기로 결의했다.
국내 72개 건설사 대표와 임직원들은 19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공정경쟁과 자정실천을 위한 결의대회’에 참석했다. 국기에 대한 경례,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 등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국민의례가 끝나자 결의문을 대표로 낭독할 주요 건설사 대표들이 차례로 호명됐다. 업계 원로인 동부건설 이순병 부회장을 비롯해 현대건설 정수현 사장,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사장, 현대산업개발 김재식 사장 등이 비장한 표정으로 단상 위에 올라섰다.
건설사 대표들은 결의문에서 “과거의 불공정한 관행으로 인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상실하고 부정적이고 왜곡된 인식을 심화시키게 됐다”고 자성부터 했다. 그러면서 “그간의 잘못된 관행을 치열하게 반성하면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각오로 공정사회 구현에 적극 동참하겠다”며 “불공정 행위가 경제질서를 교란하는 것임을 명백히 인식하고, 부조리한 과거 관행과 완전히 단절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어 건설사 대표들은 허리를 90도로 숙이며 대국민 사과를 했다. 대한건설협회 최삼규 회장은 “결의문을 정부와 관련 기관에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건설업계는 건설공익재단 출범을 통해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지원 사업 등 사회공헌활동을 확대하기로 했다. 개별 건설사 차원에서도 다양한 나눔경영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청년 고용절벽 해소와 해외건설 수주에 박차를 가해 동반성장 기반 조성에 앞장서고, 건설 근로자의 복지와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내용도 결의문에 담겼다.
아울러 건설업계는 3진 아웃제(3회 입찰담합 적발 시 임찰참가 제한)의 적용 기준을 강화하고, 특사 이후에도 불공정 행위가 재발할 경우 최고경영자(CEO)에게 무한책임을 묻는 등 강도 높고 실효성 있는 담합근절 방안을 도입·시행하기로 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입찰담합, 치열하게 반성합니다” 국민 앞에 고개 숙인 건설업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