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의 공천개혁안 준비 작업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듦에 따라 내년 총선 공천기준을 둘러싼 당내 긴장감이 또다시 고조되고 있다.
당 혁신위원회는 18일 전체회의에서 '초민감' 사항인 선출직공직자평가위(평가위) 구성틀과 운영방향에 대한 방침을 정한 뒤 20일 당무위원회에 이 안건을 상정해 당규화하는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평가위는 현역의원에 대한 여론조사, 지역활동, 의정활동·공약이행, 다면평가, 선거기여도 등 5개 항목을 평가하는 기구로, 평가결과가 단일한 지표인 '교체지수'로 나오면 낮은 점수를 받은 의원들은 공천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현역 의원들이 평가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은 어떤 불이익을 어느 정도로 주느냐에 따라 공천·낙천의 향배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혁신위 내에서는 일정한 비율을 정해 하위 점수자를 일괄적으로 공천에서 배제하자는 강한 주장에서부터, 원천 탈락이 아니라 공천 심사시 감점을 주는 형태로 가자는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국민에게 당의 쇄신과 혁신 이미지를 주려면 하위 점수자에 대한 일괄공천배제가 가장 강력한 카드지만 이 경우 비주류를 중심으로 한 의원들의 강한 반발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또 가뜩이나 비주류를 중심으로 탈당 및 신당이 거론되고 당밖에서도 무소속 천정배 의원을 필두로 신당 창당 움직임이 일고 있는 상황이어서 자칫하면 공천개혁안이 또다른 분란의 빌미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전날 밤 개최된 혁신위원-최고위원 간담회에서는 하위 점수자에 대해 불이익을 주자는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불이익의 방법론을 놓고 입장차가 드러나 혁신위의 고민을 더하고 있다.
최고위에서는 평가위가 직접 불이익을 주는 대신에 그 다음 단계로 실질적인 공천 심사를 담당하는 공천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가 심사의 평가 자료를 활용하거나 감점을 주는 방식으로 가자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혁신위는 쇄신을 바라는 국민여론을 따르느냐, 당 분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타협안을 수용하느냐 사이에서 최선의 해법을 도출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한 셈이다.
혁신위가 당내 저항을 감안해 당무위에 구체적인 불이익의 방법을 밝히는 대신 하위 득점자에 대해 불이익을 준다는 수준에서 보고한 뒤 안건 처리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혁신위 관계자는 "국민 정서가 무엇인지는 우리도 잘 알고 있다"며 "일부 반발이 예상된다고 하더라도 내일(18일) 전체회의에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혁신위 활동에 비판적이었던 당내 비주류 의원들은 이 같은 움직임에 속으로 불만을 품고 있으면서도 혁신위 공천안이 발표될 때까지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호남의 한 비주류 재선 의원은 "지금까지 혁신위 활동은 혁신이라기보다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은 제도 개선에 치우쳐 있었다"며 "가장 중요한 공천이 남아있는 만큼 일단 기다리면서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도 "국회의원도 무대에 섰으면 평가하고 공천에 반영하는 것이 맞다"면서 "그러나 그것이 국회의원을 공무원처럼 왜소하게 하면 안되고, 불공정한 공천에 활용돼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선출직공직자평가위 구성틀, 野혁신위 최대 민감 사안…20일 당무위 고비
Ŭ! ̳?
Ϻ IJ о
õ